"영화산업 도산 위기…심각성 인식하고 대책 마련 필요"

영화관 근무자, 4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 올려 지원 호소
임대료, 관리비, 인건비 지원 등 현실적인 대책 필요 지적
영화발전기금의 실질적인 사용 촉구
"정부·영진위, 사태 심각성 인식하고 대책 마련…대한민국 영화산업 사라질 수 있어"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청원 글. 청와대 국민청원 홈페이지 캡처
"코로나로 무너져가는 영화산업(영화관, 배급사, 제작사)을 지켜주십시오."


영화산업 종사자가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벼랑 끝에 몰린 영화산업을 지켜달라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글을 올리고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영화관에 근무하고 있다고 밝힌 청원자는 지난 4일 "정부와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에 유감을 표한다"고 규탄하며 영화발전기금이 실질적으로 피해 구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호소했다.

청원자는 "코로나 사태로 영화산업은 무너지고, 관련 대기업도 존폐를 모를 정도로 힘든 시기다. 하물며 중소기업은 말할 것도 없이 힘들고, 영화계에 있는 모든 관계자가 죽게 생겼다"고 설명하며 "코로나 이전에도 영진위의 예산 집행 등에 대한 비판을 많이 들어왔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 과연 영진위는 무엇을 하였는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2020년 영화관 답변 기준 매출액 현황. 영화진흥위원회 제공
청원자는 영진위가 영화 관람료 6천원 할인권 제공 등이 아닌 영화관·제작·배급사 등의 임대료, 관리비, 인건비 지원 등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영진위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영화 관람료의 3%를 영화발전기금으로 징수하고 있다. 해당 기금은 한국 영화 창작과 제작, 수출과 국제교류, 소형·단편영화의 제작 지원 등에 사용된다.

지난해 4월 정부가 위기를 맞은 영화계를 위해 연평균 540억원이 부과되는 영화발전기금 부과금 한시 감면 등을 추진하고 영진위가 2020년 기존 사업비(889억원)에 추가로 170억원을 투입해 피해 지원에 나섰지만, 실질적인 지원이 되기에는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나온 바 있다.

청원자는 "임대인들에게 백 번 요청해도 영화관은 크지 않냐며 임대료 삭감도 안 해주는 것이 현실이다. 임대 면적이 크고 직원이 많은 만큼 도산했을 경우 실업자도 많이 생길 것"이라며 "정부 지원을 받고 싶어도 소상공인이 아니라고 한다. 영화관 특성상 영업이익은 적어도 매출은 커서 또다시 지원을 못 받고,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호소했다.

영진위가 지난달 발표한 '코로나19 충격: 2020년 한국영화산업 가결산'에 따르면 12월 매출액 추정치 123억원을 더한 2020년 극장 총매출액은 전년 대비 무려 1조 4037억원 감소한 5103억원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로 관객 발길이 뚝 끊긴 서울 시내 한 영화관 모습. 연합뉴스
관객 감소에 이어 신작 공급 중단까지 겹치며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 4개 계열 영화관 중 10개 관이 폐관하고 18개 관 영업 중단했다. 개봉 연기 등 극장에 영화가 끊기며 관객이 감소했고, 이는 고용인원 감축으로 이어졌다.

설문에 응답한 계열(직영, 위탁), 비계열 총 407개 관에 따르면 2020년 10월 영화관 정규직 재직자 수는 2019년 12월 대비 15.9% 감소한 3291명이었고, 계약직 수는 무려 70.2% 급감한 3450명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코로나 사태가 이어지면서 상황이 악화되자 한국상영관협회도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정부에 영화관 임대료 부담 경감책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청원자는 "사실 대기업, 중소기업을 따지는 것도 의미가 없을 정도로 영화산업의 큰 위기다. 2020년 관람객 수와 2021년 1월에 개봉하는 영화들을 봐 달라. 영화산업은 이미 붕괴하기 시작해서 곧 도산할 것"이라며 "정부와 영진위에서 이 사태에 대해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책을 마련해 달라. 곧 대한민국의 영화산업은 사라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