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풍 속 잠자던 200년 전 조선시대 기상 기록 복원

국가기록원, 조선후기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 복원해 공개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조선시대 후기 국가 천문기관인 관상감(觀象監)에서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기록이 200년 만에 복원됐다.

국가기록원은 30일 현재의 기상청이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조선의 역서(曆書)와 중국의 역서의 내용을 대조해 우리나라에 맞게 분석한 내용을 담은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觀象監淸鄕曆考準謄錄)을 복원했다고 밝혔다.

역서는 일 년 동안의 월일, 절기, 특별한 기상 변동 따위를 날의 순서에 따라 적은 책이다.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 훼손 상태와 복원 과정(사진=국가기록원 제공)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은 2015년 개인이 소장한 병풍을 수리하던 도중 병풍의 나무틀에서 조각난 상태로 발견되어 기상청에 기증됐다.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은 임금에게 보고한 공문서를 시기 순으로 그대로 옮겨 적은 기록으로 1년에 1회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복원된 기록은 정조 14년(1790)부터 고종 27년(1890)까지 100년 사이의 기록 중 25건으로, 이는 조선시대 천문학과 당시 관상감의 활동을 알 수 있는 역사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고 국가기록원은 전했다.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 복원 전·후 모습(사진=국가기록원 제공)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에는 중국의 역서와 절기 시각 및 날짜, 합삭(合朔)·현(弦)·망(望)시각의 차이와 원인, 중국과 차이가 있을 때 우리나라의 역서를 기준으로 하라는 의견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합삭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들어가 일직선을 이루는 때를 말하고 현과 망은 태양과 지구, 달이 순서대로 한직선 위에 놓이는 때 등을 말한다.

이번 작업은 복원 처리와 복제본 제작 등 약 4개월에 거쳐 완성됐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국가기록원 복원팀은 조각을 일일이 맞추어 14장의 온전한 기록을 완성하고 오염물질 제거 후 천연 염색한 한지를 이용해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했다.

복원된 '관상감청향력고준등록'은 30일에 개관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기상 역사박물관인 '국립기상박물관'(서울시 종로구 소재)에 전시되며 11월부터 관람할 수 있다.

기상청 김종석 청장은 "훼손이 심했던 중요한 기상유물을 복원해준 국가기록원에 감사를 표한다"며, "선조들이 전해준 날씨의 역사를 지속 발굴하고 소중히 보존하며 기상과학문화를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