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론산업 규모·기술력 떨어져…수입 드론 국내시장 점유"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드론 산업이 초기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보다 규모나 기술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 결과 수입 드론이 국내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4일 전 세계 드론 시장 규모가 2025년 239억 달러(27조8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국 드론 산업은 초기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7년 정부 부처 로드맵에 따르면 2016년 우리나라 드론 시장 규모는 세계시장의 1%에 불과했다. 드론 업체 51.9%도 매출 규모 10억원 미만의 영세업체였다. 또 전 세계 드론 관련 특허 중 한국 비중은 7%로, 미국(28%)에 비해 크게 낮았다.

그 결과 국내시장은 수입 드론이 점유하게 됐다고 전경련은 주장했다. 지난해 8월 말까지 지방항공청에 등록된 12kg 이상 대형 드론 1만21대 중 국내산 제품이 10% 미만이었던 것이 이를 방증한다. 전경련은 강력한 드론 산업 육성책을 실시한 다른 국가를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사진=연합뉴스)
중국은 기술 수용적 정책 기조와 보조금 지급 등에 힘입어 드론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고, DJI·이항과 같은 기업의 성공으로 세계 최대 소형 드론 생산지로 자리 잡았다. 미국은 아마존, 구글, 퀄컴 등 글로벌 기업들의 드론 산업 투자가 잇따르는 가운데 UPS, 알파벳, 아마존의 드론 상업 배송을 허용했다. 일본은 2016년 이후 매년 로드맵을 수정해 2030년까지 장기 계획을 실행 중이다. 아울러 국가전략특구제도를 통해 산림감시, 택배 등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2017년 공공 조달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에 드론을 지정하는 등 지원책이 중소기업 보호에 맞춰져 있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중소기업 간 경쟁제품은 공공기관이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지정한 물품을 구매할 때 중소기업 제품만 사도록 한 제도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공공분야 사업 주체를 중소기업으로 한정하고 중견기업과 대기업의 참여를 제한해 드론 산업의 경쟁력을 키울 기회가 축소됐다"면서 "중소기업 레벨업을 위한 마케팅 지원과 핵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