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 계획'을 27일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크게 늘어났으나, 허위 정보 확산과 사이버폭력 등 역기능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등 4대 전략과제 및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선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강화하고, 팩트체킹 과정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을 구축할 방침이다.
언론·사회·경제 등 각 분야별 전문가가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화교육도 실시한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정체성 확립, 소통과 사회 참여 등을 위한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사이버 폭력과 혐오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또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미디어교육 거점시설의 전국 확대 구축을 추진하고, 누구나 미디어 제작과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무상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미디어교육원을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해 학교에서부터 미디어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흩어져 있던 미디어교육 관련 정보는 온라인 미디어교육 플랫폼에 공개한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며, 누구도 미디어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