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협상이 진행되어 오던 틱톡 모회사 바이탠스와 마이크로소프트(MS)간에 인수협상이 더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카카오인 '위쳇'은 물론 다른 중국의 소프트웨어 기업을 국가안보를 이유로 비슷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확전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8월 1일부터 틱톡 사용 금지 가능성을 언급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조치를 바로 취하지 않고 45일의 시한을 줬다. 이 기간 안에 매각협상을 진행해 중국물을 완전히 빼라는 뜻이다.
틱톡의 미국 내 사용자가 1억 명 이상 되는 점을 감안해 완전 금지보다는 '탈중국'을 통한 '미국화'가 현실적이라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젊은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틱톡을 완전히 금지했을 경우 대선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자칫 법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도 고려됐을 것이다.
디즈니의 거물 CEO 케빈 메이어까지 영입하며 중국 정부나 공산당과의 무관성을 입증하려던 바이트댄스는 울며 겨자 먹기로 미국 내 틱톡 사업권을 넘겨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틱톡 해법에 대한 출구가 보이자 이번에는 중국의 카카오톡인 위쳇이 미 행정부내에서 거론되기 시작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이며 위쳇과 중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무수한' 중국 소프트웨어 기업들에도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자국내 틱톡 사업을 45일 이내에 매각하라고 한데 대해 중국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지만 관영 언론들은 미국 시장에 대한 기업의 신뢰를 저하시킬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10여일 전 미국이 휴스턴에 있는 총영사관을 폐쇄했을 때 청두에 있는 미국 총영사관 폐쇄로 맞불을 놓았던 것처럼 상호주의를 적용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세계적인 검색엔진은 결국 검열 문제로 중국 정부와 대립하다 2010년에 중국에서 철수했고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소셜미디어는 중국에서 철저히 차단되고 있다.
또 틱톡이 중국 정부와 상관이 없는 앱일 뿐이고 국가적 이익과 직결된 것도 아니어서 화웨이 때처럼 강하게 반발하기도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