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된 이들 문화 생활 챙겨주는 ‘문화돌봄사’ 생긴다

정부가 문화·체육 분야에서 소외된 이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돕는 ‘문화돌봄사’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시대’가 온 것과 관련해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문화체육관광부 박양우 장관은 24일 열린 제8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따뜻한 연결사회를 위한 비대면 시대의 문화전략’을 발표했다. 문체부는 3대 추진 전략으로 ‘사람 중심의 디지털 연결 문화 조성’,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 활성화’, ‘사람과 사회의 연결 기반 강화’를 제시했다.


눈에 띄는 내용은 ‘문화돌봄사’ 제도다. 저소득층이나 고령층 등 사회복지대상자 가운데 문화예술 돌봄대상자를 선별해 이들에게 지역 사회에서 벌이는 문화·체육 프로그램을 소개해주는 제도로, 영국에서 링크 워커(Link Worker)라는 이름으로 실시되고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상담을 통해 주민센터나 평생교육원에서 하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찾아주는 일종의 ‘돌봄’ 제도로, 비용은 지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주민센터 등의 문화·체육 프로그램 수강 비용이 저렴한 편이지만 실제 프로그램을 수강할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되는 대상자들이 얼마나 될지 실효성이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는 또한 앞으로 국가통계를 조사할 때 ‘문화활동’이나 ‘여가행복지수’ 등과 관련된 항목을 추가해 정책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저소득층에 한정해 지원하는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도 청소년과 은퇴 연령층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또한 각종 문화예술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유 관광’, ‘치유 순례길’ 조성 등을 통해 ‘사회적 심리 방역’도 강화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디지털 교육이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제작도 지원한다.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개발·보급하는 등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비대면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과 플랫폼을 확대한다.

아울러 디지털 문화격차 해소를 위한 접근성도 높인다. 온라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 문화시설을 첨단기술 문화체험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청각·시각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한 말뭉치(언어 빅데이터) 구축, 통·번역 사업도 지원하며 스마트 도서관을 구축해 누구나 디지털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문화기술포럼을 개최해 새로운 기술이 한국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해나갈 계획이다.

박 장관은 “이번에 발표된 문화전략을 내실 있게 추진해 연령이나 소득, 지역에 따른 문화예술 관람격차를 줄이고, 사회적 외로움도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