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등 인터넷 미디어가 이념 극단성 강화"

"소셜미디어 사용자, 현실에서도 다른 집단보다 정치 참여 더욱 활발"

(로고=KDI 제공)
인터넷 포털이나 소셜미디어(SNS) 등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미디어'는 이용자들 간 자유로운 소통을 특징으로 한다.

뉴스 등 정보를 이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전통적 미디어'보다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이유다.

그러나 상명대학교 최동욱 교수에 따르면 이는 '착각'에 불과하다.

최 교수는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펴낸 '한국의 여론 양극화 양상과 기제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인터넷 미디어가 오히려 더 극단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SNS 이용자들은 자신의 성향과 반대되는 성향의 언급을 접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게 최동욱 교수 분석이다.

최 교수는 "이용자들이 동질적인 그룹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극단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쉬운 환경을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는 인터넷 미디어 플랫폼의 수익 극대화 전략이기도 하다.

충성도가 높고 극단적인 성향을 가진 이용자들이 모이도록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미디어 플랫폼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이경근 교수도 같은 보고서에서 "소셜미디어가 사용자들의 기존 신념 체계를 더욱 강화하는 '확증 편향' 작용을 한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고 전했다.


이경근 교수는 "최근의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히스토리와 취향에 맞추어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확증 편향 기능이 더욱 강하게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 교수는 "소셜미디어의 이런 기능을 통해 소위 '가짜뉴스(fake news)'가 유통되고, 잘못된 사실관계를 바로잡기보다는 더욱 부추기는 효과가 있다"고 우려했다.

그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은 온라인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현실에서도 다른 집단에 비해 정치 참여가 더욱 활발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이들의 정치 참여 활동이 매 시점에 정치적으로 휘발성이 높은 주제, 시위와 같이 주목도가 높은 활동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안에 대한 객관적이고 복합적인 이해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의 타협보다는 한쪽 주장을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정치 행태를 촉진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론과 이념 양극화와 그에 따른 사회 분열에 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 교수는 "이념 성향 분포가 실제로 양극화했다기보다는 극단적 성향을 가진 이들의 활발한 여론 형성 활동과 정치 참여가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KDI 임원혁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여론 양극화를 막기 위한 정책 제언을 했다.

첫째는 '차별 금지와 포용적 정체성의 확립'이다.

임원혁 교수는 "차별 금지와 포용적 정체성의 확립은 배타적 사회 정체성에 기초해 집단 양극화와 여론 양극화가 심화할 가능성을 차단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차별금지법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사회 모든 분야에서 변화를 수용하고 포용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임 교수는 조언했다.

임 교수는 '기회의 평등 보장과 경제 불평등 완화', '극단적 지지자에게 의존하는 선거 방식 개선' 등도 제시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