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물가상승률 OECD 최하위권…2017년 15위→2019년 33위

금통위원 "근원물가 상승률 더 둔화시 작은 충격에도 디플레 우려 확대 가능성"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년 만에 전 세계 주요국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약해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에 소비가 줄며 물가상승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통계 집계 이후 최저인 0.4%에 그치며 36개 회원국 가운데 33위를 나타냈다.

한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곳은 그리스(0.2%)와 포르투갈(0.3%)뿐이다. 스위스(0.4%)는 스위스프랑 가치 절상에 물가 상승률이 한국과 같았다.

90년대에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겪은 일본(0.5%)은 한국보다 높았다.

2017년만 해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15위였지만, 2018년 1.5%로 낮아지며 26위로 밀려났고, 작년에는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민간 경제의 물가상승 압력을 보여주는 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상승률도 낮아졌다.

한국은 2017년 근원물가 상승률이 1.7%로 OECD 회원국 가운데 13번째로 높았다. 그러나 2018년에는 1.2%로 꺾이며 19위로 밀렸고, 지난해에는 0.7%까지 낮아지며 29위가 됐다.

전문가들은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로 반등했지만, 신종코로나에 국내 소비가 줄어 물가 상승률이 다시 낮아질 수 있다고 예상한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원은 "신종코로나로 소비가 위축돼 단기적으로 수요 측면의 물가 하방 압력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신종코로나 확산이 중국 내 집중되는 데 그칠 경우 한국의 국내소비는 0.1%포인트 감소하지만, 한국에서도 추가로 퍼질 경우 0.3∼0.4%포인트 줄어들 수 있다고 봤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중국 내 부품 생산 차질에 일부 중간재 가격이 오를 수 있겠으나, 소비 위축이 더 크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1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 회의에서도 가파르게 하락하는 물가 상승률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수년간 이어진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의 하락 추세가 반전될 것으로 기대하기 쉽지 않다"며 "만일 근원물가 상승률이 더 둔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도 디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