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남북이 북미보다 먼저 나갈 수도…호르무즈, 미국은 기여 원해"

"큰 틀에선 남북과 북미대화 선순환… 지금은 관여 모멘텀 살려야"
"미국도 우리의 그런 의지나 희망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이해"
"호르무즈 해협에 대해 미국은 이해관계 걸린 나라들 '기여' 원해"
"국민과 기업의 안전과 이란과의 관계 등 고려해 결정해야"

강경화 외교장관이 14일(현지시간) 미국 팰로앨토의 가든코 호텔에서 한미·한미일·한일 외교장관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4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미·한미일·한일 외교장관회담 뒤 "특정 시점에 따라서는 북미가 먼저 나갈 수도 있고 또 남북이 먼저 나갈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관심사로 떠오르는 호르무즈 해협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 측의 '기여'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우리 측의 대응이 본격적인 '파병'으로 해석되는 것은 경계했다.

강 장관은 이날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남북협력 구상과 관련해 미국 측의 입장과 차이가 없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 "큰 틀에서는 북미, 남북 대화가 서로 보완하면서 선순환의 과정을 겪으면서 가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기본 입장이다"고 전제한 뒤 이같이 밝혔다.

이어 "비핵화 또는 미북 관계 개선을 위한 북미 대화가 지금 진전 안 되는 상황에서는 남북이 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 남북의 대화가 됨으로써 북한의 관여(engagement) 모멘텀을 계속 살려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로선 그간 남북 간의 중한 합의들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제재 문제가 되지 않는 부분들도 있고 제재 문제가 있다고 하면 예외로 인정을 받아서 할 수 있는 그런 사업들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데 대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여러 가지 의견을 나눴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 측에서도 우리의 그런 의지라든가 그런 희망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이해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개별 관광은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발언과 관련, 우리 측의 설명이 지지를 받으면서 갈 분위기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기본적으로 이러한 모든 구상을 미국 측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한다는 데 있어서는 미국 측도 충분히 평가해 주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별 관광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원칙적 차원에서는 제재 문제가 없지만, 그것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야겠지만, 우리는 특히 이산가족 상봉이 지금 단체로 안 되는 상황에서 방문을 원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다"며 "많은 나라가 이미 개별 관광을 허용하고 있는데 우리 국민만 못 가는 게 우리 스스로가 너무 제약한 게 아니냐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고 말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인근 팰로앨토의 포시즌 호텔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회담에 참석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 고위 당국자는 강 장관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에게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의 입장을 잘 설명했다면서 "그 부분에 대해서는 폼페이오 장관도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부연했다.

한편 강 장관은 '호르무즈 파병에 대한 미국의 직접 요청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미국은 호르무즈 해협에 많은 경제적인 이해관계(stake)가 걸린 나라들은 다 기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다"며 "우리도 70%의 원유 수입을 그 지역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그런 뜻에서 한국도 큰 관심을 갖고 기여해야 하지 않느냐는 입장이다"고 미국 측의 뜻을 전했다.

다만 강 장관은 "우리는 이 부분도 물론이지만, 이 지역의 국민과 기업의 안전, 이런 것을 생각하고 이란과의 관계 등도 다 고려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리 측 또한 외교장관회담에서 파병 문제에 대해 신중론을 펼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호르무즈 문제와 관련, 미국 측의 구상과 참여국들에 대해 상세히 전해 들었다며 "우리가 어떤 식으로 결정을 내리느냐 하는 범정부, 그리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의 논의는 계속될 것이다. 우리의 NSC 차원의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는 데도 상당히 도움이 되는 만남이었다"고 설명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