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은 매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국민 메시지를 전하지만 신년사는 3.1절 기념사, 8.15 경축사, 국회 시정연설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연설로 꼽힌다.
특히, 신년사는 지난해 이뤄낸 성과와 미진한 부분을 돌아보고, 올해 국정 목표와 주안점을 밝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에 의미가 남다르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문 대통령은 휴일인 5일 공식일정을 잡지 않았고, 6일에도 수석보좌관 회의를 취소한 채 신년사 준비에 매진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일 신년인사회를 통해 올해 '확실한 변화'를 보이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직후 2017~2018년을 핵심 개혁과제를 추진하는 '혁신기', 2019~2020년을 사회적 합의를 통해 성과를 내는 '도약기', 2021~2022년을 국정과제를 완수하는 '안정기'로 설정했다.
도약기의 마지막 해인 올해의 국정 성과에 따라 집권 후반기가 바람대로 '안정기'에 접어들지 아니면 조기 레임덕에 빠져들지가 달려있는 셈이다.
현재 문재인 정부는 적폐청산이나 권력기관 개혁, 혁신 경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등에서 소기의 성과를 이루기도 했지만,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만한 성과는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경제활성화나 제조업 등 일자리 분야에서 국민들의 시선이 차갑다.
청와대 관계자는 "올해는 민생경제를 챙기는 것이 가장 첫번째 아니겠느냐"며 "제출된 법안들이 번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하는 건 답답하지만, 핑계만 댈 것이 아니라 모든 수단을 동원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내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따라서 문 대통령은 이번 신년사에서 그간 기틀을 다진 '혁신적 포용국가'의 남은 과제를 과감히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성과 창출을 다짐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등 3대 신산업 육성을 통한 혁신성장과 사회안전망 강화 등이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은 지난 2일 신년인사회에서 '상생 도약'을 올해의 과제로 제시한 만큼 중소·중견기업과 대기업의 상생협력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또 문재인 정부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을 위한 메시지도 제시될 수 있다. 북미의 교착이 길어지고는 있지만, 비핵화 협상의 판 자체가 깨진 것은 아니므로 문 대통령은 정상간의 의지를 강조하며 조속한 대화 재개를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에 있어 운신의 폭을 넓혀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한만큼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창의적 해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또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임명되면서 다시 시동이 걸린 검찰개혁과 관련해서도 당위성을 언급하며 남은 과제의 완수를 다짐할 전망이다.
신년사와 발맞춰 청와대 분위기를 일신하기 위한 내부 조직개편과 참모진 인사도 이르면 6일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윤건영 국정상황실장과 주형철 경제보좌관, 권향엽 균형인사비서관 등 총선 출마가 유력한 참모들을 교체하고, 국정상황실을 국정상황과 국정기획으로 이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상황 담당에는 이진석 정책조정비서관이, 국정기획 담당에는 조용우 국정기록비서관이 임명되는 것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