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도 미국의 '일론 머스크(Elon Musk)'처럼 스타트업으로 자수성가한 기업인이 나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 배달의민족>아시아나+코웨이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독일의 딜리버리히어로(DH)에 지분 87%를 매각했다.
딜리버리히어로가 우아한형제들의 가치를 40만 달러(우리나라 돈 4조 7000억원)로 평가한 것으로 볼 때, 인수대금은 4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금액은 벤처캐피탈(VC)에게 돌아간다. △힐하우스캐피탈 △알토스벤처스 △골드만삭스 △세쿼이아캐피탈차이나 △싱가포르투자청(GIC) 등이다.
2017년 배달의민족에 350억원을 투자한 네이버 역시 1166억원의 현금과 1038억원 상당의 딜리버리히어로 주식을 받게 됐다.
이 같은 자금은 우리나라 인터넷 기업의 인수합병(M&A) 역사상 최대 규모이자 최근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기업 M&A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구체적인 지분은 다르지만 최근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인수합병의 규모는 △아시아나항공 2조 5000억원(HDC현대산업개발-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 △코웨이 1조 8000억원(넷마블) △롯데카드 1조 3810억원(MBK파트너스-우리카드 컨소시엄) 등이다.
단순 산술적으로 우아한형제들의 기업가치가 아시아나항공과 코웨이를 합한 것보다 크게 인정 받은 셈이다.
스타트업의 성공신화는 미국에서 자주 접하게 된다.
2006년 구글이 1조원을 제시했으나 매각하지 않았던 페이스북은 현재 시가총액이 625조원에 달하고, 같은해 구글이 16억 5000만 달러(약 1조 7000억원)에 인수한 유튜브는 현재 200조원 넘는 가치로 평가된다.
이 가운데 가장 화제의 인물은 일론 머스크다.
그는 2015년 지도에 회사 정보와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Zip2'를 설립한 뒤 컴팩에 매각해 2200만 달러(약 2500억원)을 손에 쥐게 됐고, '페이팔'로 잘 알려진 엑스닷컴을 설립했다.
이베이가 2002년 페이팔을 인수하면서 자금을 확보한 일론 머스크는 다시 △스페이스X 1억 달러(약 1165억원) △테슬라 7000만 달러(약 815억원) △솔라시티 1000만 달러(약 116억원) 등을 투자했다.
이후 부침은 있었지만, 결국 우주항공과 전기차, 태양광 에너지, 바이오 인공지능 사업 등 미래를 선도할 분야를 경영하는 기업가이자 '도전과 열정'의 상징이 됐다.
◇ 배달의민족, '게르만민족' 오명…독과점 과제도 남겨
반면 우아한형제들 김봉진 대표를 포함해 경영진이 보유한 지분 13%는 딜리버리히어로 본사 지분으로 전환된다. 또 김 대표는 합작사인 '우아 DH 아시아'의 회장을 맡게 된다.
배달사업이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김 대표는 경영 노하우를 활용해 글로벌 배달업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배달의 민족입니다!"라는 구호로 성공을 거둔 배달의민족이 독일 기업에 팔리면서 '게르만 민족'이 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토종 스타트업이라는 이미지에 힘입어 성장했지만 해외 기업에 매각하면서 '배신감'을 불렀다는 평가에서다.
더 큰 문제는 '독과점'이다.
딜리버리히어로는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를 통해 배달앱 '요기요'와 '배달통'을 운영하고 있다. 결국 배달앱 시장 1~3위를 모두 한 기업이 소유하게 되면서 배달앱 시장의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식 거래 적정성(기업결합) 심사를 통과해야 이번 빅딜이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공정위는 특정 사건에 대해 언급할 수 없다"면서도 "소비자 후생의 네거티브 효과와 혁신 촉진 부분을 비교해 균형감있게 접근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