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이재갑 장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주52시간제 보완대책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이 장관은 "탄력근로제 개선 등 입법이 안 될 경우 주 52시간제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현장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추진하겠다"며 보완책을 공개했다.
이번 보완책의 첫 머리로 꼽힌 '특별연장근로' 제도는 자연재난 등의 사고를 수습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연장근무가 필요한 경우 노동자 동의 및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가를 거쳐 1주 12시간인 법정한도를 초과한 연장노동을 허용하는 제도다.
현재 특별연장근로 인가 적용 요건은 자연재해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재난, 혹은 이에 준하는 각종 재난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임박한 경우로 한정됐는데, 여기에 경영상 사유를 포함하도록 관련 시행규칙을 개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이 장관은 "평상시에는 주 52시간을 지킬 수 있으나, 일시적인 업무량 증가 등에는 대응이 어렵다는 호소가 많았다"며 "일시적인 업무량 급증 등 경영상 사유에 대해서도 특별연장근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행규칙 개정으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대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근로기준법상 특별연장근로의 사유를 '특별한 사정'으로 제한한 점을 감안하면 위법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에는 "우리나라는 주68시간까지 근로가 허용돼 특별한 사정을 굉장히 제한적으로 해석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장관은 "다른 나라의 사례를 보면 특별연장근로에 대해 넓게 해석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주52시간제로 단축됐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사례에 맞춰서 '특별한 사정'인 경우에 경영상 이유까지 확대해서 해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법률에 있는 '특별한 사정'이라는 해석의 내용으로 한정되고, 건강권 보호 장치도 시행규칙으로 같이 마련하기 어렵다"며 "입법예고를 할 때에는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내년 1월 1일부터 주52시간제가 확대 적용되는 5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에는 계도기간을 부여해 관련 처벌을 유예한다.
다만 정확한 계도기간은 관계부처 간의 협의를 마친 뒤 확정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구체적인 안은 갖고 있지만, 국회 입법논의가 진행된 상황에서 구체적인 기간까지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다만 대기업에 대해서도 계도기간을 부여한 것을 감안해 좀 더 충분한 계도기간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개선계획을 제출한 기업 등 적극적인 개선 노력을 보인 기업은 계도기간을 우대 적용하기로 하고, 각 지방노동관서에 설치된 현장지원단을 통해 개선계획을 마련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중소기업의 구인난과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신규채용이 필요한 기업에는구인-구직 매칭을 지원하고, 대규모 추가채용이 필요한 기업은 중점지원 사업장으로 선정해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구인난이 심각한 기업은 현장지원단의 확인을 거쳐 사업장별 외국인 고용허용한도(E-9)를 한시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내국인이 취업을 기피하는 일부 서비스 업종에는 동포(H-2) 허용업종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날 이 장관은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기존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가 최우선 과제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장관은 "시행규칙을 통한 확대범위에는 제한이 있고 건강권 보호 조치 등 반영에도 한계가 있다"면서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법률 개정을 통한 제도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기국회가 12월 9일까지이기 때문에 12월 초쯤 되면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힐 것이라고 판단한다"며 "(탄력근로제 입법)논의에 진전이 없을 경우 시행규칙 개정 절차에 착수해 (내년) 1월 중에는 개선된 제도를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