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김정은, 북미회담 12월로 정해…곧 실무회담"(종합)

정보위 국감서 "10월 스톡홀름 실무저복 통해 상호 입장 확인"
"12월 정상회담 전제하면 11월, 늦어도 12월 초엔 실무회담"
"전례 감안해 북미회담 전 김정은 방중가능성 주시"
"SLBM은 새로 제작한 발사장비서 발사…신형 잠수함도 건조"
"ICBM 이동 후 거치·발사했다면 이동식으로 봐야"…정의용과 다른 해석 내놔
초대형 방사포는 연발 성능 실험용…영변 원자로는 지난해부터 가동 중단
김정일 동생 김평일 곧 귀국…누나 김경진과 남편 김광석도 동반귀국 가능성

서훈 국가정보원장와 전해철, 한선교 등 여야 위원들이 4일 서울 서초구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가정보원에 대한 국정감사장에 자리하고 있다.(사진=국회사진취재단)
국가정보원은 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 달 중 북미정상회담을 하는 것으로 정해 놓은 상태라고 확인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민기 의원에 따르면 서훈 국정원장은 이날 국정원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김 위원장이 12월로 (북미) 정상회담을 정해놓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별 성과는 없었지만 지난 10월 스톡홀름에서 실무협상을 한 것을 보면 11월에 실무협상을 할 것"이라며 "12월로 북미회담을 정해놓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11월에 (실무회담이) 안 된다고 하면 12월에는 (실무회담을) 반드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보위 자유한국당 간사인 이은재 의원도 "지난 10월 5일 스톡홀름 실무접촉을 통해 장시간 상호 입장을 확인한 만큼 본격적인 실무 협의에 들어갈 시기가 됐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북미 정상회담 전에 중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설 원장은 "북미 실무회담이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예상되는 3차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이 중국과 협의를 할 필요성이 있다"며 "1차 싱가포르, 2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전 방중한 전례 등으로 보아 김 위원장의 연내 방중 계획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 위원장의 남측 답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4일 서울 서초구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가정보원에 대한 국정감사장에 자리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석수 기획조정실장, 최용환 1차장, 서훈 원장, 김상균 2차장, 김준환 3차장.(사진=국회사진취재단)
국정원은 지난 달 2일 시험발사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이른바 SLBM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새로 제작한 수중 발사장비에서 쏜 것으로 추정했다.

국정원은 지난 10월 2일 발사된 SLBM, '북극성 3형'이 신규 제작한 수중 발사 장비에 장착돼 해저에서 쏜 것으로 파악했고, 기존의 북극성에 비해 비행성능과 탄두탑재능력이 향상됐다고 보고 있다.

국정원은 북한이 기존의 '로미오급'에 비했을 때 전폭은 7m로 같지만 전장에 80m로 5m 가량 길어지는 신형 잠수함의 건조 공정을 동해 신포조선소에서 마무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형 잠수함에서의 발사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1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감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이동식발사대(TEL)로 발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국정원은 ICBM을 이동한 후 거치해 발사하는 방식도 이동식 발사라고 규정했다.

이 의원은 "이동식 ICBM을 싣고 일정한 지점에 발사대 거치를 한 뒤 ICBM을 발사하는데, 이것도 결국 이동식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 달 30일 북한이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는 지난 5월과 8월에 발사한 것과 같은 발사체로, 연발 사격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3분간 2발을 발사한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영변 핵단지 내 5㎿ 원자로는 지난해 11월 말부터 가동 중단 상태이며, 재처리 시설도 유지 점검 외 별다른 징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보고했다.

다만 우라늄 농축시설은 가동 중이고 실험용 경수로는 내부 공사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정원은 현재 체코 주재 대사인 김정일의 이복동생, 김평일 대사가 조만간 대체돼 귀국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평일의 누나인 김경진도 남편인 김광석 오스트리아 주재 대사와 함께 동반 귀국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