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석유협회는 24일, 올해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며 국내 정유업계가 3분기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은 1억 2,723만 배럴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1.1% 감소한 실적이다. 앞서 정유업계는 지난 2분기에도 수출물량이 5.7% 감소한 바 있다.
2분기 연속 수출물량이 줄면서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수출물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0.8% 감소한 3억 6,253만 배럴로 집계됐다.
지난 2014년부터 시작된 정유업계의 수출물량 증가세가 6년 만에 멈춘 것이다.
가장 큰 원인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장기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가 꼽힌다.
글로벌 경기둔화가 이어지며 국제 석유 수요가 감소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OECD 국가의 올 상반기 하루 평균 석유 수요는 9,440만 배럴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0.6% 감소했다.
3분기 석유제품 수출액은 92억 8,000만 달러로 지난해 3분기보다 15%나 감소했다. 국제유가가 하락하며 석유제품 수출단가도 함께 내려간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3분기 우리나라 석유제품 수출국 비중은 중국(19.5%)이 선두를 차지했고 이어 일본(11.4%), 싱가포르(10.6%), 미국(7.7%), 호주(7.4%) 순으로 집계됐다.
중국이 여전히 우리나라 석유제품의 최대 수출국이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수출량은 12.3%나 감소했다. 제품별로는 항공유(38%↓)와 벙커C유(70%↓), 아스팔트(21%↓) 판매량이 크게 줄었다.
석유 제품별로 살펴보면 경유가 4,959만 배럴로 전체 석유제품 판매량의 39%를 차지했다. 이어 항공유(21%), 휘발유(18%), 나프타(9%) 순으로 조사됐다.
벙커C유 수출은 26%나 감소했다. 이는 국제해사기구(IMO) 2020 규제가 임박하면서 고유황유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로 석유제품 수출이 다소 주춤한 상황이지만 정유업계는 내년 시행될 IMO 2020 규제에 맞춰 저유황 연료유 공급과 수출국 다변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국가 수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