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대만·홍콩 관계, 우리도 영향…모니터링 강화해야"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유의"

중국과 대만·홍콩 간 관계 변화가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만큼, 양안 갈등 격화 가능성과 홍콩시위 전개 양상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6일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에 조사국 박정하 조사역이 실은 '중국과 대만·홍콩 간의 관계 : 동향 및 전망'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대만 개인여행 잠정중단, 홍콩의 '송환법 반대' 시위 등으로 중국 대 대만·홍콩 관계가 갈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만의 경우 현직 차이잉원 총통은 지난 6월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등 집권 기간 지속적으로 중국과 대립해왔다. 또 동남아·호주 등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등 대만 경제의 중국 의존도를 완화 노력을 계속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정치·외교적 조치를 통해 대만에 압력을 행사했다. 최근까지 기존 대만 수교국 6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며 대만의 수교국을 16개국까지 줄였다. 또 8월부터 중국인의 대만 개인여행을 중단시키는 경제 압박조치도 취했다.


홍콩의 경우 송환법 반대 시위를 통해 중국·홍콩간 갈등이 부상했다. 이번 시위과정에서 홍콩 시민들은 행정장관 직선제 등 홍콩의 정치적 자치권을 요구하고 있다. 홍콩 내에서는 중국인 유입 급증에 따른 부동산 가격 10년간 2.5배 폭등, 소득 불평등 확대, 일자리 감소 등 경제적 불만이 내재돼 있었다.

중국과 대만·홍콩 관계악화는 역내는 물론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대만·홍콩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무역·투자 등에서 직접적 영향을 받아, 중국은 관계악화에 따른 대만 제조기업의 '탈중국화' 등으로 제각각 성장 하방압력을 겪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도 무역과 금융 연계성을 감안할 때 상당한 영향이 예상됐다. 지난해 기준 대만과 홍콩은 각각 우리나라의 6위(208억달러)와 4위(460억달러) 수출지역이다. 특히 우리 주력제품인 반도체가 각 지역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만이 31.3%, 홍콩이 73.0%에 달했다.

또 홍콩 수출 중 중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이 82.6%에 달하는 등 이들 지역을 경유한 대중국 수출 규모도 상당하다.

이런 가운데 홍콩은 중국의 진압병력 투입 가능성이 낮아졌으나 시위가 지속되는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중국과 대만의 양안 관계는 대만의 내년 1월 총통 선거에서 현 여당의 재집권 여부에 따라 향후 방향성이 좌우될 전망이다.

박 조사역은 "대만·홍콩과의 관계 악화가 초래할 수 있는 중국의 경제 성장동력 약화 및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성장세 둔화에 더해 금융시장 불안정이 심화되면 중국경제 경착륙론이나 위기론이 확산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