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45.7% "소재·부품 조달 1년전보다 어려워"

한국은행 '지역경제보고서 2019.9월'…美中 분쟁, 日규제 영향
해외조달 리스크 상승은 일본이 33.7%로 최고, 중국도 17.6%
일본 리스크는 무역규제·납품지연, 중국은 가격급등·무역규제
대응방안은 구매선 다변화, 예비거래처 확보, 재고보유 확대 순

한국은행이 전국 제조업체 199곳을 설문한 결과 1년전보다 소재·부품 조달에 리스크가 높아졌다고 응답한 업체가 45%를 넘었다. 해외 조달의 경우 일본산에 대한 리스크 증가가 가장 많이 꼽혔고, 해소 대책으로는 구매선 다변화가 가장 활발했다.


한은이 30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 2019.9'에 따르면 소재·부품 조달 리스크가 1년전보다 높아졌다고 응답한 업체는 91곳으로 45.7%에 달했다. 한은은 업체들이 자체 선정한 주요 소재·부품 중 1년 전에 비해 한가지라도 조달 리스크가 높아진 경우 리스크 상승으로 분석했다.

이들 91개 업체의 소재·부품을 국내외 공급처별 리스크로 재분류(중복집계)한 결과 일본이 33.7%(199곳 중 67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17.6%) 유럽(7.0%) 미국(6.0%) 기타(10.1%)로 나타났다. 국내조달 리스크 상승 업체는 32곳으로 16.1%였다.

일본과 중국 대상 조달 리스크 상승이 두드러진 배경에는 일본의 수출규제, 미중 무역분쟁 등이 자라잡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업체들의 리스크 발생가능성은 일본의 경우 무역규제(27.1%), 납품지연(20.1%), 가격급등(15.1%), 품질악화(3,5%)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가격급등(11.1%), 무역규제(7.5%), 납품지연(6.0%), 품질악화(5.5%) 순으로 우려가 높았다.

업종별 조달 리스크 상승은 기계·장비(50.0%), 철강(45.5%), 석유·화학(41.7%), 자동차(38.6%), IT(36.1%)의 순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41.4%, 중견기업의 46.7%, 중소기업의 43.2%가 조달 리스크 상승으로 응답했다. 내수기업(43.3%)보다는 수출기업(48.4%)의 조달 리스크 상승 비율이 높았다.

주요 소재·부품의 재고 보유기간은 3개월 미만 62.8%, 3~6개월 29.9%, 6개월 이상 7.3%로 집계됐다. 소재·부품 조달 차질시 대체 소요기간은 3개월 미만 32.5%, 3~6개월 31.0%, 6~12개월 16.2%, 1년 이상 5.5%, 대체 불가능 14.8%로 나타났다.

대체가 어려운 소재·부품(대체 불가능 또는 대체 1년 이상 소요)이 있다는 응답은 대기업(38.2%)과 중소기업(32.5%)이 높은 반면 중견기업(16.9%)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체곤란 소재·부품은 주로 화학제품(23.6%), 1차금속제품(23.6%), 컴퓨터·전자·광학기기(16.4%) 등이었다.

소재·부품의 대체가 어려운 이유로는 품질수준 저하(35.8%), 납기 미충족(16.6%), 조달비용 상승(15.9%), 현 거래처 독점생산(14.6%)이 주로 꼽혔다. A/S 곤란(6.6%), 고객사 승인 필요(6.0%) 등도 있었다.

조달 리스크 축소를 위한 대응에 나선 업체는 68.8%로 집계됐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의 80.0%가 대응에 나선 데 비해, 중견기업(65.9%)과 중소기업(56.4%)은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이 적었다.

구체적 대응책은 구매선 다변화(34.8%), 예비 거래처 확보(26.0%), 재고 보유 확대(25.7%) 등이 많았다. 국산화 추진(9.7%)과 해외기업 지분 투자(2.4%)를 통한 대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응답 업체들이 꼽은 국산화 장애 요인으로는 기술·연구개발인력 부족(23.7%), 국내수요 부족(21.2%), 기술개발자금 부족(14.4%), 환경·생산활동 규제(13.9%) 등이 있었다.

업체들은 소재·부품 국산화 및 조달 안정화를 위해 가장 효과가 높은 정책으로 투자세액공제 강화(21.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공급-수요기업 공동개발·상품화 지원(17.3%), 해외 공급처 다변화 지원(14.8%), 환경·입지규제 완화 및 행정절차 간소화(13.2%), 정부출연연구소 통한 R&D 지원(12.4%), R&D자금 저리 융자(12.0%) 등으로 응답됐다.

한편 한은 15개 지역본부가 권역내 업체 등을 대상으로 지역경제 동향을 모니터링한 결과, 3분기중 권역별 경기는 성장세 둔화가 지속된 가운데 2분기 대비 보합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