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2019년 9월)'에 따르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지방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말 39.4%에서 올해 2분기말 43.5%로 상승했다.
지방 차주의 연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 상승폭은 같은 기간 152.2%에서 207.7%로 55.5%p 뛰었다. 이는 수도권(192.3%→232.4%)의 상승폭 40.1%p을 웃돈다.
또 지방 차주는 고소득 및 고신용 비중(2분기말 61.7%, 69.7%)이 수도권(67.3%, 77.4%)에 비해 낮았다. 비은행 대출 비중은 반대로 54.1%에 달해 수도권(32.6%)을 압도했다.
자산(LTV)과 소득(DSR) 측면에서의 채무상환능력은 대출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수도권보다 여전히 취약했다.
평균 주택담보대출 LTV 비율은 수도권의 경우 2017년 이후 규제 강화와 주택가격 상승으로 하락(2012년 49.8%→올 2분기 49.4%)했지만, 지방(50.1%→56.2%)은 주택가격 하락세 탓에 수도권과 격차를 키웠다.
2분기말 평균 가계대출 DSR은 지방이 37.1%로 수도권(36.3%)을 소폭 상회했고, 'DSR 100% 초과' 대출 비중 역시 32.6%로 수도권(27.3%)보다 높았다.
한은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가치 감소, 소득여건 악화 등으로 차주의 부채상환능력이 약화되면서 지방 가계부채의 건전성이 2017년부터 점차 저하됐다"고 밝혔다.
지방 주택담보대출 중 연체대출 비중도 2017년 1.6%에서 올 2분기 2.1%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1.2%가 유지됐다.
한은은 "아직 지방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다만 지방 가계부채의 구조 및 차주의 상환능력이 수도권에 비해 취약한 만큼, 지방 대출 비중이 높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