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인 가구 '대세'인데…미래 주택은 여전히 4인용?

"주택 시장 수요‧공급 불균형 이뤄질 수도" 우려 제기
"소득 수준 높아져…선진국 수준으로 나아가는 의미이기도"

30년 뒤 1‧2인 가구가 우리나라 가구 구성의 과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기존 '3인 이상 가족' 중심의 주택이 미래 주택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소득 수준의 향상과 생활 스타일의 변화를 고려했을 때, 오히려 선진국 수준의 주거 환경에 가까워지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오는 2047년에는 1인 가구가 832만 가구로 37.3%, 부부 가구가 479만 4000가구로 21.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부+자녀 가구는 363만 8000가구로 16.3%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2017년 기준 총가구 가운데 부부+자녀 가구가 31.4%인 615만 가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1인 가구와 부부 가구가 각각 28.5%인 558만 3000가구, 15.8%인 309만 3000가구를 기록한 것과 상반되는 변화다.

하지만 여전히 서울을 비롯한 전국의 아파트 대부분은 '3인 이상 가구'를 중심으로 한 모양새다.

우선, 정부가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 공급한 국민주택의 기준 전용면적이 '85㎡ 이하'라는 점이 그렇다. 기준 수치인 '85㎡'가 3‧4인 가구에 가장 적합한 면적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 사업 규모 관련 통계 역시 이를 뒷받침한다. 국가통계포털의 아파트주거환경통계에 따르면 사업 규모 82.5㎡, 즉 25평 이상인 아파트의 비중은 61.1%를 차지했다.

이 같은 경향은 민간건설업체의 사업에서 좀 더 두드러져 70.8%에 달했다. 미래 아파트 시장에서 '1‧2인 가구 중심의 수요'와 '3‧4인 가구 중심의 공급'이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소득과 생활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더 나은 주거 환경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부동산정책연구위원회 김진유 위원장은 "시장 혼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데, 터무니 없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우리나라의 1인당 주거 면적이 유럽과 미국에 비해 10㎡ 이상 좁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생활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주택의 규모에 대한 수요도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제 3‧4인 가구가 85㎡를 초과하는 규모를 선호하게 될 수 있다"며 "생활 수준 변화를 감안하지 않고 무작정 작은 규모의 주택을 공급을 하는 게 오히려 주택시장의 '미스매치'를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