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북한은 4.27 판문점 선언 1주년에 이어 9.19 선언 1주년 기념행사에도 참여하지 않게 됐고, 1주년의 의미 등에 대해서도 침묵을 지키고 있어 행사가 다소 빛바래는 모양새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군사분야의 구체적 실천으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크게 완화되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평화가 실현됐다"며 "선언을 실질적으로 이행해 나가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정착의 완성을 끝까지 견인하겠다"고 평가했다.
북미대화에 대해서도 "하노이 회담 이후 교착 상황에 있지만, 대화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 관련국 모두 지금의 기회를 소중히 여기며,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더 이상 늦춰서는, 기다려서는 안 된다. 시간은 기다리는 사람이 아니라 해결하려는 사람의 편이다"며 "평화의 열차가 도라산역을 넘어 힘차게 달릴 그 날을 앞당기기 위해 정부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도 덧붙였다.
전날 통일부 고위 당국자 또한 평양공동선언의 의미에 대해 "남북군사합의서에 명시된 적대 행위 금지 조치와 판문점의 비무장화 등으로, 북미 지도자가 하루만에 판문점에서 어려운 실무 문제에도 불구하고 만남을 가질 수 있었다"며 "남북관계가 답보된 상황에서 지지부진한 측면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행된 성과들도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으로 당초 서울역에서 특별열차를 타고 출발, 파주 도라산역에서 열리려던 행사는 대폭 축소돼 서울에서 열리게 됐다. 여기에 더해 4.27 판문점 선언 1주년 행사에 이어 이번에도 북한이 참여하지 않게 되면서 다소간 빛이 바래게 되는 모양새다.
남북관계가 답보 상태이던 지난 4월, 우리 정부는 판문점 선언 1주년 기념행사를 열면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개최 사실을 행사 5일 전 북한에 통보했다.
하지만 이번에 정부는 개최 사실을 따로 북한에 통보하지 않았다. 남북관계 등 현실적인 상황을 감안해서 단독 행사로 기획했고, 북한에 통보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 통일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또 북한 측도 9.19 선언 1주년이 되는 19일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지난 4월 4.27 선언 1주년을 맞을 때와는 다소 상반된 모습이다.
당시 북한은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명의로 비망록을 발표, 판문점 선언에 대해 "북과 남이 뜻과 힘을 합쳐 민족화합의 새 역사, 공동번영의 새 시대를 열어나갈 것을 온 세상에 선포한 역사적인 사변"이라고 언급했다. 같은 해 5월과 9월에 연이어 진행된 남북정상회담까지 언급하며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또, 그보다 보름 전인 4월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지금 온 민족은 역사적인 판문점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이 철저히 이행되어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적 분위기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북남(남북)관계가 끊임없이 개선되어 나가기를 절절히 바라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 연설에서 "이미 천명한 바와 같이 남조선 당국과 손잡고 북남(남북)관계를 지속적이며 공고한 화해협력 관계로 전환시키고 온 겨레가 한결같이 소원하는 대로 평화롭고 공동번영하는 새로운 민족사를 써 나가려는 것은 나의 확고부동한 결심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해 둔다"고도 덧붙였다.
하지만 약 5개월 뒤 평양공동선언 1주년이 되는 19일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TV, 노동신문 등 여러 북한 매체들은 통상 수준의 보도만을 내놓고 있으며 평양공동선언에 대한 언급은 전혀 하지 않고 있다.
평양공동선언은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참석한 이른바 '1호 행사'이고, 4.27 판문점 선언 1주년 직전엔 이를 직접 언급하기까지 했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 북한의 한미연합훈련 비난, 발사체 발사와 '막말' 등으로 현재 경색돼 있는 남북관계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평가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관련 언급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 대한 질문에 "의도를 부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