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널 : 표준 FM 98.1 (07:00~07:30)
■ 진행 : 김덕기 앵커
■ 대담 : 홍제표 기자
◇ 홍제표 > 아베 일본 내각의 경제보복에 우리 정부는 한 치 물러섬 없는 결연한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들도 어느 때보다 비상한 마음가짐으로 불매운동에 나서며 모처럼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미국 등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 아베 정권을 포위 압박해야 하는 것이죠. 정부도 이 점은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 내에도 아베 정권을 비판하는 양심세력이 있습니다. 이들도 우리의 '우군'으로 삼고 제휴·연대해야 하는 데 그런 전략은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에 초점을 맞춰봤습니다.
◆ 김덕기 > 아베에 반대하는 것이지 일본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의 양심세력과도 손을 잡고 '반(反) 아베 전선'을 넓히자, 뭐 이런 얘기 같습니다. 그런데 요즘 보면 일본 사회 자체가 많이 달라지고 우경화된 것 같아요. 일본 내 우군이 과연 얼마나 되는지도 솔직히 좀 의문입니다.
◇ 홍제표 >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 사회의 '공기'(空氣, 분위기)가 달라진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번 수출규제 조치만 하더라도 일본 국민 다수가 지지하고 있습니다. TBS방송 계열인 JNN 여론조사에선 '타당하다'는 응답이 58%에 달했고, 극우 성향인 산케이신문 계열 방송사 조사에선 무려 71%가 '지지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진보 성향인 아사히신문 조사에서조차 '타당하다'는 응답이 56%에 달했습니다. 일본 내각부가 매년 발표하는 외교 관련 여론조사에서도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최근 10년 사이 급감했습니다. 2008년에는 57%가 친근감을 느낀다고 했는데 지난해에는 39%에 머물렀습니다. 속마음(혼네)을 잘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더 줄어들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한 일본문제 전문가는 "일본 내 제휴할 세력이 남아있는지나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기도 했습니다.
◆ 김덕기 > 이번 사태로 일본 내 반한 감정이 더 커지지 않을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 홍제표 > 아베 정권의 무도한 경제도발에 반일감정이 생겨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럼에도 우리 국민들은 반일감정을 '감정적'으로 풀지 않고 성숙한 불매운동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반한 감정을 넘어 '혐한' 시위로 이웃나라를 대해왔고, 이는 이미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아베 정권의 도발이 중단되지 않는 한 일본 내 혐한 기류가 더 확산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입니다. 혐한 시위의 선동 구호를 직접 들어보시죠.
◆ 김덕기 > 섬뜩한 느낌마저 주는데요. 일본의 우경화, 원인이 뭡니까?
◇ 홍제표 > 내적으로는 잃어버린 20년을 거치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잇단 자연재해 등으로 위축되고 의기소침해졌습니다. 외적으로는 중국의 굴기, 한국의 추격, 한반도 평화체제 등으로 입지가 좁아졌습니다. 전쟁 책임을 느끼지 못하는 전후세대로선 불만과 불안감이 커지는 것이죠. 보통국가화, 사실상 군사대국화를 꿈꾸는 아베의 우경화 노선이 먹혀드는 토양인 셈입니다. 여기에는 한일갈등을 부추기는 우익세력들의 가짜뉴스·흑색선전도 톡톡히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유재순 JP뉴스 대표의 최근 CBS 시사자키 인터뷰 내용입니다.
"유튜브에 태극기부대를 비롯한 가짜뉴스를 양산하는 우익단체들의 유튜브 내용을 그대로 보도를 하고 있고 그게 진실인 양 일본인들을 믿게 설득 작전에 가두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 김덕기 > 아베 정권 이후에는 그래도 좀 달라지지 않을까요? 어떻게 전망하세요?
◇ 홍제표 > 불행하게도 별로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 견해입니다. 일단 '포스트 아베'도 보수정권이 집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본 사회 저변부터 보수화 흐름이 세졌고 야당의 대항마도 마땅치 않기 때문입니다. 아베 총리는 물론 그 후계자들도 '한국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나라'라는 담론을 계속 유포하며 개헌 여론몰이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의 말을 들어보시죠.
"이런 한국에 대한 불신과 의심이 일본 조야 전반에 강하게 뿌리 내리게 됐습니다. 그래서 어떤 정권이 집권하더라도 한국에 대한 이런 부정적 시각이 단기간에 없어지긴 어려울 것이라 봅니다."
◆ 김덕기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 양심세력과 손을 잡는 노력은 필요하겠죠?
◇ 홍제표 > 어렵더라도 아베 정권의 퇴행적 행보가 한일 양국을 모두 불행하게 할 것이라는 인식을 이끌어내는 노력은 지속해야 합니다. 일본 내에도 아베를 비판하는 목소리는 분명히 있습니다. 예컨대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찬성 여론이 60%에 달하지만 이는 반대 여론도 40%가 된다는 뜻입니다. 혐한 시위에 맞서는 맞불시위도 드물지 않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늦은 감은 있지만 장기적 차원에서라도 공을 들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의 말입니다.
"양국 국민들의 감정을 자극할 수 있는 발언이나 행동보다는 협력과 교섭을 통해 원만하게 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 김덕기 > 중요한 것은 방법인데 어떤 수단이 있을까요?
◇ 홍제표 > 사실 뾰족한 대책은 없습니다. 정부는 물론 민간 차원에서도 지혜를 모아야 할 부분입니다. 다만 최소한 현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것만은 막아야 하겠죠. 그러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우리 국민이 더욱 굳건한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이 결코 흔들릴 나라가 아니란 점을 인식시켜야 사태를 빨리 끝낼 수 있습니다. '한국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는 아베의 거짓 선전에 대한 효과적 대응 논리도 개발해야 합니다. 오히려 한국은 북일수교를 적극 지원하는 등 한반도 평화체제, 나아가 동북아 공동번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일본도 이 큰 흐름에 올라타길 적극 권유하는 것입니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장은 "한일관계를 남북관계와 북일관계에서 같이 바라보면 해결의 여지가 늘어난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