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는 10일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보고서에서 "전자 부문을 중심으로 높은 재고 수준과 세계 무역을 둘러싼 불확실성 고조가 생산과 민간 투자에 계속 부담을 줄 것"이라고 한국경제를 진단하며 이같이 하향조정했다.
S&P는 지난 4월에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4%로 소폭 조정한 바 있다. 다만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2016년 8월 이후로 'AA'에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S&P는 또 한국은행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5.2%에서 5.1%로 소폭 낮췄다.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한 S&P의 이같은 전망치는 우리 정부가 이달초 내놓은 '2.4~2.5%'와는 괴리가 있다. 최근 불거진 일본의 핵심소재 수출 규제 조치에 따른 파장을 전망치에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한국 경제가 추가적인 하방압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보면서, 내년 전망치로는 1.7%를 제시했다.
모건스탠리측은 "일본과의 무역마찰은 이미 국내외적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한국 경제에 추가 하방압력이 될 수 있다"며 "일본 정부가 반도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생산의 핵심 소재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리지스트, 에칭가스 등 3개 품목의 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관련 공급 제약과 생산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미중 무역분쟁의 불확실성에 가장 많이 노출된 국가 중 하나"라며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이후 미중 무역협상의 불확실성으로 한국 수출의 증가율이 더 낮아지고 저점이 4분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다른 해외IB인 씨티(Citi)와 골드만삭스(GS)는 2.1%로, JP모건은 2.2%로 각각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한 상태다. 일본IB인 노무라는 1.8%, ING그룹은 한 발 더 나아가 1.5%를 제시한 상황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 4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내놓으면서 "원래 민간 전망치가 더 낮지만 결국 정부 전망치가 가장 실제에 가깝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도 "일본의 조치가 성장률을 다시 수정할 정도의 사안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이미 상반기부터 관계부처간 TF를 구성해 꾸준히 논의해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일 갈등이 올해 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될 거란 안팎의 분석이 잇따르면서, 정부 전망치와는 달리 2%대 안팎에 그칠 거란 관측에 한층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