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즉각 사실 무근이라 반박했지만, 북미 실무협상 재개를 앞두고 미국의 대북 접근법에 유연한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북한과 새로운 협상에 나서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 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서 몇 주 전부터 새로운 아이디어가 형성되고 있었다...그것은 핵동결에 상응하는 개념으로...중대하지만 제한적인 첫걸음으로부터 시작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저울질 되고 있다."
뉴욕타임즈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서울과 워싱턴에서의 취재를 토대로 이같은 보도를 내놨다.
여전히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공식적 목표로 내세우고 있지만, 내년 미 대선 전까지 가시적 대북 성과를 내놔야 하는 트럼프 행정부가 비핵화로 가는 중간 단계로 핵 생산을 동결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것이다.
북한이 아주 단기간 내에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극단의 요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현실적 인식이 이런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이에따라 하노이 정상회담 때 북한이 내놨던 영변 핵시설에 더해 핵 시설의 범위를 더 넓혀, 생산을 동결하고 사찰단까지 수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즈는 보도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1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논의해 본 적도 들어본 적도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옭아매려는 시도"라고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내놓고는 있지만 이번 뉴욕타임즈 보도는 그동안 완전한 비핵화 이후 제재 해제 입장을 고수해왔던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기류변화가 감지되는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로 실무협상을 주도하는 비건 대표도 지난달 19일(현지시간)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애틀란틱 카운슬에서의 공개연설을 통해 협상이 진전되기 위해서는 "미국과 북한이 모두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판문점 회동에 대한 감회와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긍정적 메시지를 연일 발신하면서 북핵 성과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따라 이달 중순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실무급 회담에서 북미 양측이 보다 새롭고 유연한 접근법을 모색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