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2년까지 우리금융 지분 18.3% 전량 매각(종합)

내년 상반기부터 최대 10%씩 2~3회 매각 진행
3년 내 완전 민영화…'주가 낮아도 매각' 방침
"민영화 시기 불확실성 해소…주가가 상승 기회"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지분 18.3%를 2022년까지 2~3차례에 걸쳐 전량 매각하기로 했다. 이 계획대로라면 우리금융은 최초 출범 21년만이자 재출범 3년만에 완전 민영화된다.

2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전날 회의에서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이같은 내용의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심의·의결했다.

금융위는 "공자위에서는 과점주주 매각, 지주사 전환 완료 등으로 형성된 우리금융의 '완전 민영화' 모멘텀을 이어갈 필요성에 공감이 형성됐다"며 "이에 따라 예보 지분 완전매각으로 우리금융을 민간의 품으로 완전히 돌려주기 위한 로드맵을 논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예보는 원칙적으로 2020~2022년 3년간 약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지분을 분산 매각하기로 했다. 예보의 지분은 18.32%다.


매각방식은 매회 10% 범위 내에서 '희망수량경쟁입찰'을 먼저 실시하되, 유찰·잔여물량은 장외거래인 블록세일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희망수량경쟁입찰은 고가·다량 매수 제시자를 우선으로 다수에게 낙찰하는 방식으로, 2016년 7대 과점주주에게 지분 27.2%를 넘길 때도 쓰였다. 블록세일은 회차별 잔여물량 범위 내에서 최대 5%를 매각한다.

매각은 희망수량경쟁입찰(약 4개월) 및 잔여물량 블록세일(약 2개월) 소요기간을 감안해 원칙적으로 1년 주기로 실시하되, 직전 매각일로부터 6~18개월 기간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매각 때마다 공적자금관리위 의결로 구체적인 매각조건이 확정된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국내외 투자여건을 점검한 뒤 내년 상반기 중으로 1회차 지분 매각을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우리금융은 한빛은행 등 공적자금 투입 5개 금융사 통합관리를 위해 2001년 정부 지분 100%로 설립됐다 2014년 해체됐다. 이후 우리은행 체제로 운영되다 올해 1월 다시 지주사 체제로 재출범했다.

그 사이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정부 지분이 수차례 매각됐고, 올해 6월 현재 예보 외에 국민연금(8.37%) 우리사주조합(6.39%) 과점주주(7개사 합계 25.9%) 등에 지분이 분산됐다.

우리금융이 예보 지분 18.32%를 완전히 털어내면 '공적자금 투입회사'라는 한계를 벗고 활발한 경쟁을 할 수 있다. 우리금융 자산규모는 올해 3월 현재 345조원대로 신한금융(513조원대), KB금융(490조원대), 농협금융(424조원대), 하나금융(393조원대)에 뒤쳐져 있다.

현재의 우리금융을 구성하는 과거 부실금융사에는 모두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됐고, 지분매각 등 꾸준한 노력으로 현재까지 11조1000억원(87.3%)의 공적자금이 회수됐다고 금융위는 밝혔다.

정부는 우리금융 주가가 1만3800원 수준이면 원금을 100%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 이날 거래소에서 우리금융 주가는 1만3950원으로 마감했다.

정부는 그러나 "공적자금 회수만이 아니라 민영화가 불러올 금융시장 발전도 중요한 가치"(금융위 관계자)라는 판단 아래 주가에 연연하지 않고 예보 지분 매각을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권에서는 민영화 관련 불확실성이 사라진 만큼, 장기적으로 우리금융의 주가가 상승 기회를 얻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 지분이 언제 처분될지 알 수 없어 경쟁사보다 우리금융 주가가 저평가된 측면이 있었지만, '향후 3년'이라는 기한이 확정된 만큼 시장이 긍정적으로 볼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