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태가 '제2의 황우석 사태'로 불리면서 한국의 바이오제약 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려 국제 경쟁력을 잃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의약품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기본인데,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되지 않은 의약품을 어느 나라가 수입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국내 바이오제약 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2%에 불과해 국내 제약사는 필연적으로 세계 시장을 바라볼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다른 제약업계 관계자는 "국내 바이오제약사는 수출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한국 의약품에 대한 국제 신뢰도가 떨어질 경우 수출이 막힐 수 있다"며 "수출이 막히면 국내 바이오제약업계도 생존하기 힘들다"고 걱정했다.
그러면서도 "국내 제약바이오산업계는 국제 수준에 부합하는 GCP(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와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에 기반해 의약품 개발과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만큼 이번 사안이 산업계에 대한 신뢰문제로 이어지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외 이승규 총괄부회장도 "(인보사 사태로 인해 한국 바이오제약업계의)국제적 신뢰가 안떨어진다고 할 수는 없다"며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 일어난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그러나 "한국 전체적으로 보면 인보사 말고도 다른 아이템이 많이 있다"며 "전체적인 신뢰도 영향은 오래 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인보사 사태를 계기로 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의 관리를 강화하겠다며 '첨단재생의료및첨단바이오의약품안전및지원에관한법률'을 제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법에 규정된 '인체세포 관리업'을 신설해 의약품 허가 이후에도 이 업체를 통해 주기적으로 유전자 검사를 실시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하겠다는 것.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오히려 이 법이 유전자 치료제 등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안전성을 해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전진한 정책국장은 "첨단바이오의약품법은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하는가하면 조건부 허가 기준 대부분을 하위법령에 맡겨 행정부 권한을 확대했으며 유전자·세포 치료제 임상시험 기준도 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보사 사태는 세계시장 선점에 눈이 멀어 제대로 된 검증없이 유전자· 세포 치료제를 허가해온 결과"라고 주장했다.
인보사 사태에 이어 바이오제약 업계의 또다른 걱정거리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이다. 현재 검찰 수사가 삼성그룹 차원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삼성바이오의 분식회계 혐의가 드러날 경우 이 역시 커다란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바이오는 세계 최대의 의약품위탁생산업체(CMO)로서 삼성그룹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계열사이다.
만약 분식회계 혐의가 드러날 경우 삼성바이오 상장폐지 문제가 다시 부상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금융감독원이 분식회계 혐의로 삼성바이오를 검찰에 고발하면서 주식거래가 정지되고 한국거래소가 상장폐지 여부를 심사하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