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인 KDI(한국개발연구원)은 13일 펴낸 '5월 경제동향'을 통해 "소매판매액의 증가폭이 소폭 확대됐지만 투자와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KDI가 경기 상황을 '둔화'로 판단한 건 지난달에 이어 두 달째다. 앞서 KDI는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개선 추세'란 판단을 내려오다 11월부터 '둔화'로, 또 지난 4월엔 '부진'으로 수위를 조정했다.
KDI는 "3월 서비스업생산은 여전히 저조하지만 소매판매액 증가폭이 확대됐다"며 "소비의 둔화 추세가 다소 완만해진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3월 서비스업생산은 0.6%의 증가율을 기록, 전월의 -0.4%보다는 높았지만 1~2월 평균인 1.0%보다는 낮았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전월(7.7%)에 이어 9.4%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이 각각 1.6%와 3.3% 감소한 때문이다.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2.4%로 1~2월 평균인 1.3%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비내구재(3.4%)가 화장품(13.9%)을 중심으로 전체 소매판매액 증가를 견인했다. 내구재와 준내구재는 각각 0.2%와 2.6% 증가했다. 다만 올해 1분기 소매판매액 증가율은 1.7%로, 지난해 3분기의 3.8%나 4분기의 3.0%)를 밑돌았다.
4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1.6을 기록, 기준치를 웃돌았다. 소매판매액지수와 관련이 깊은 소비재수입도 11.6%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기계류 설비투자가 전월(-29.0%)에 이어 또다시 20.0% 감소한 가운데, 반도체 설비투자와 관련이 높은 특수산업용기계는 43.7%나 감소했다. 운송장비도 4.2% 감소했지만, 전월의 -20.1%보다 감소 폭을 줄였다. 1분기 전체로도 3.5%의 감소세를 기록, 지난해 4분기의 0.2% 증가율에 못 미쳤다.
3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부문과 토목부문 모두 감소폭이 줄어 전월의 -12.2%보다는 다소 완화된 –2.9%였다. 토목 부문은 전월의 -21.3%에서 -9.2%로 폭을 좁혔고, 건축 부문은 -9.3%에서 0.5% 증가세로 바뀌었다.
수출은 조업일수 증가로 감소세가 둔화됐지만, 하루 평균 수출액의 감소폭은 확대됐다. 4월 수출은 –2.0%로 전월의 -8.2%보다 감소폭이 줄어들긴 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5.8%로 전월의 -4.5%보다 저조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13.5%, 석유화학 -5.7%, 석유제품 -2.6%였다. 반면 자동차는 5.8%, 선박은 53.6% 각각 증가했다. 3월 수출물량지수는 전월의 -3.3%와 비슷한 –3.0% 증가를 나타냈다.
수입은 자본재가 14.8% 감소했지만 소비재(8.1%)와 중간재(6.7%)는 증가하면서 전월의 -6.7%보다 높은 2.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전년동월의 61억 6천만 달러보다 축소된 41억 2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3월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생산이 소폭 증가에 그친 데다, 광공업생산도 반도체 등 주요 업종을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며 전월의 -1.9%에 이어 감소세(-0.7%)를 이어갔다.
제조업 출하는 내수출하가 전월의 -5.2%에서 -3.3%로 감소세를 이어갔고, 수출출하도 같은 기간 0.2%에서 1.0%로 소폭 증가에 그쳐 -1.5%를 기록했다.
KDI 관계자는 "제조업 가동률도 비교적 낮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며 "동행지수 및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에 이어 계속 하락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