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히 국내 정유업계가 그동안 이러한 상황에 대비한 결과 타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란에 크게 의존한 '초경질유'는 수입 가격 상승 등 타격이 예상된다.
◇ 美, 이란제재 강화… "한국도 이란 원유 수입 NO"
미국이 이란산 원유 제재와 관련해 한국을 비롯한 8개국에 대해 인정했던 6개월간의 예외 조치를 연장하지 않았다.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2일(현지시간)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은 더 이상 예외조치를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며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로화 할 것"이라고 공식발표 했다. 즉, 예외국이었던 한국과 일본도 이란산 원유 제재에 동참하라는 것이다.
앞서 지난해 미국은 '이란 핵 합의(JCPOA)'에서 탈퇴하며 다시 이란에 대한 경제 제재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5월 '대이란 제재 복원'을 발표하며 금·귀금속과 자동차, 철강 등의 원자재 거래를 제재했다. 이어 이란산 원유에 대해서도 2018년 11월 5일부터 제재한다고 밝혔다.
다행히 당시 한국과 일본 등 8개국은 미국의 이란산 원유 제재 조치에서 예외국으로 인정됐다. 미국은 한국 등 8개국에 대해선 2019년 5월 2일까지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도록 했다.
다만 최근 이란 정예군인 이슬람혁명수비대(IRGC)를 외국 테러조직(FTO)으로 지정하는 등 또다시 제재 수위를 높인 미국이 이번엔 한국과 일본 등에 대해서도 이란산 원유을 수입하지 못하도록 했다.
결국 예외 조치가 연장되지 않으면서 한국도 다음 달 3일부턴 이란산 원유를 수입할 수 없다.
◇ 미리 대비한 업계… "타격 크지 않지만 초경질유는 걱정"
결국 이란산 원유 수입이 막히면서 국내 정유화학업계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다만 그동안 업계는 이러한 상황에 대비한 결과 타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란산 원유의 수입이 막힐 수도 있다는 우려는 이전부터 계속해 나왔다. 지난 2012년에도 이미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 조치가 내려진 바 있어 업계도 면역력이 생겼다.
그러던 중 지난해 5월 8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대이란 제재 복원을 발표하면서 한국 정부는 물론 업계도 다시 대비에 나섰다.
한국은 이란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갔다. 이란산 원유를 덜 수입하며 수입국을 다변화한 것이다.
지난 2017년 1억 4,787만 배럴에 이르던 이란산 원유는 2018년엔 5,820만 배럴까지 떨어졌다. 전체 원유 수입량 중 이란산의 비중도 같은 기간 13.2%에서 5.2%까지 떨어졌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이란 제재 전면 복원을 발표한 지난해 5월 이후로도 계속해 의존도를 줄여나갔다.
한국이 이란에서 수입한 원유는 2018년 5월엔 600만 배럴에 이르렀지만 6월 549만 배럴, 7월 536만 배럴, 8월 200만 배럴까지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계속해 줄여왔다"며 "지난해 11월 한국이 예외조치를 받긴 했지만 언제까지나 완전한 유예가 아니었기 때문에 항상 대비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차하면 다른 국가에서 수입하도록 수입국 다변화도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걱정은 석유화학업계가 이란에 수입물량의 53%를 의존한 '콘덴세이트(초경질유)'이다. 콘덴세이트는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인 나프타를 뽑는 데 쓰인다.
이란산 콘덴세이트는 나프타 함유량이 많고 비용이 저렴해 한국 석유화학 업계가 애용해왔다. 국내에서는 한화토탈과 현대케미칼, SK인천석유화학이 수입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란의 초경질유가 다른 나라보다 2달러 정도 저렴한 편"이라며 "얼마나 저렴하게 수입하느냐가 결국 가격 경쟁력을 결정 짓는데 이란에서 못 사면 다른 나라에서 사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결국 비용이나 원가 측면에서 타격이 예상된다"며 "다른 수입원이 있어 물량 부족 등의 문제는 없지만 경영 측면에서 다소 어려운 점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토탈 관계자도 "이미 과거에도 수입 중단이 된 적이 있었고 그 전부터 실질적으로 다변화를 계속 진행했다"며 "다만 유가가 오르면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