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화두는 "함께 잘 살자"

충청권이 '상생'에 속도를 내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을 비롯한 대전과 세종, 충남·북도 등 지자체간 손발을 맞잡는 것인데, 여당 출신 자치단체장의 시너지효과란 분석도 있다.

이들은 최근 정부 방침인 '지역인재 채용 광역화'에 합의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을 비롯해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 등 4개 시도지사들은 지난달 26일 대전시청에 모여 이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대전권 대학 출신 청년들도 세종을 비롯한 충남북 공공기관의 우선 채용 대상이 되는 것. 거꾸로 충북권 대학 출신 청년들 역시 대전이나 세종, 충남권 공공기관의 우선 채용 대상이 된다.

그 동안 각 시.도별 행정구역에 묶여 발만 동동 구르던 청년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앞선 20일에는 광역 대중교통망 확충에도 손을 잡았다.

세종시를 중심으로 대전과 청주, 조치원과 공주를 40분대에 닿을 수 있는 '광역생활권'으로 조성하기 위해 통합 환승체계 확대와 BRT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해 나간다.

행복도시건설청은 지난 20일 7개 광역 및 기초단체들과 함께 '제1차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협의회'를 열고 도시거점 6개소(대전 반석역, 신동·둔곡지구, 청주터미널, 오송역, 조치원역, 공주터미널)와 광역거점 4개소(KTX 대전역, KTX 공주역, KTX 천안아산역, 청주공항) 등 10대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광역 BRT 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행복청의 새해 역점 사업이 '광역 상생'인데, "사업 블랙홀 세종"이라거나 "충청권 내 불균형"이라는 우려를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행복청의 한 관계자는 "각 자치단체의 이해관계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행복청이 충청권 광역 상생의 플랫폼 역할을 하고자 한다"며 "장기적으로는 광역화를 주도해 나갈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맡을 수 있는 조직과 인력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도 광역 상생을 중요시 여기고 있다.

세종을 중심으로 작게는 대전과 오송을 바탕한 300만의 '소규모 광역화'를 보다 넓게는 세종과 대전, 천안과 청주를 아우르는 500만 규모의 광역화 논의가 추진 중이다.

이른바 규모의 경제인 셈인데,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충청권 광역화를 위한 보다 본격적이고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