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산불 진화 작업엔 산불전문예방진화대(예방진화대) 모두 830명이 투입됐다. 고성‧속초 434명, 강릉‧동해서 233명 그리고 인제에서 163명이다.
전국 시군구와 산불대응 주무부처인 산림청 소속인 예방진화대는 전국적으론 약 8970명 규모다. 대형 산불이나 험준한 지형에 투입되는 산불재난특수진화대(특수진화대)와 달리 이들은 주로 산 초입 등 평이한 지형에 투입돼 초동 진화를 맡는다. 주민들을 대피시키는 것도 이들의 역할이다.
이창욱 동해안산불센터 팀장은 "이분(예방진화대원)들이 진화 작업도 하지만, 화재 초반에 산속 주민들을 한집 한집 방문하면서 대피안내를 하면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처우는 열악하기로 알려진 특수진화대보다도 한층 더 열악하다. 보통 주 5일 8시간씩 근무하는데 계약기간은 1년 중 산불조심기간인 5개월(2~5월, 11~12월)에 한정된다. 임금도 최저임금을 받아 일당으로 환산하면 대략 6만원 정도를 받는다.
현장에서의 부족한 지원도 임금만큼이나 만만찮은 어려움이란 게 이번 진화작업을 벌인 대원들의 말이다.
강릉시 소속 조익현(50)씨는 "현장에 가면 진화복, 신발 등 장비부터 소방대원들과는 말할 수 없이 차이가 난다"며 "오히려 소방대원들보다도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 불을 잡고, 불씨가 살아나는게 보이면 또 올라가서 끄는 등 고생이 많다"고 말했다.
고성군 소속 구자억(69)씨도 "이번 화재 땐 경동대 뒤쪽 산에서 진압 작업을 했는데, 아무래도 산 속에서 일을 하다보니 음식, 보급품 등이 조달이 잘 안 된다"며 "밤에 투입돼 아침엔 김밥 하나에 우유, 점심엔 싸들고 온 컵라면 하나 겨우 먹는 게 일상"이라 했다.
숨은 영웅은 또 있다. 공중진화대가 바로 그들이다.
이번 강원 산불 현장엔 전국 12개 산림항공관리소에서 모두 66명의 공중진화대원이 투입됐다.
이들은 주로 소방차량이 닿지 못하는 산 깊숙한 곳에 헬기를 통해 들어가 불이 번지는 걸 막기 위해 낙엽을 제거하고, 물을 직접 살포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산불 땐 강풍으로 인해 헬기 대신 차량으로 이동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야간에 불이 나고, 강풍이 부는 악조건 속에서 오히려 산불 상황에 맞춰 특수훈련된 공중진화대 역할이 빛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