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8일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최근의 금융안정상황을 점검했다. 회의 자료에는 가계부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가계부채 비율이 지속 상승하는 점이 지적됐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가계신용) 비율은 2017년말 159.8%에서 지난해말 162.7%에 달한 것으로 추정됐다. 명목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2017년말 83.8%에서 지난해말 86.1%로 상승했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지난해말 현재 전체 가계부채는 1534조6310억원으로, 가계대출 1444조4787억원과 판매신용(카드할부 등) 90조1523억원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LTI의 구간별 분포는 소득대비 부채 부담이 비교적 적은 LTI 100% 미만 차주의 비중이 2017년 대비 하락(51.5%→50.4%)한 반면, 부채부담 수준이 크게 높은 LTI 300% 이상 차주 비중은 소폭 상승(21.1%→21.9%)했다.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31.8%로 2017년 대비 1.0%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가계대출 연체율은 낮은 수준에서 안정적 움직임을 보이다, 지난해 비은행 대출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했다"며 "비은행권 대출증가세 둔화 외에도 영세자영업자 및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된 데 주로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취약차주는 146만8000명으로 전체 가계대출자의 7.7% 비중이며, 정부의 장기연체자 지원 등으로 2017년말(149만9000명) 대비 소폭(3만1000명) 감소했다.
취약차주 대출은 비은행 비중이 64.8%로 높았다. 권역별로 상호금융(25.2%), 여전사(15.9%), 대부업(8.5%) 등이 주로 이용됐다. 취약차주(42.7%)는 비취약차주(23.7%)에 비해 신용대출 비중이 2배 정도 높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