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경기 의왕‧과천)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강 사업 전인 2006년과 사업 후인 2016년 금강 하류의 수질을 비교한 결과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의 수치 변화는 크지 않았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은 13.6% 증가, 녹조물질인 클로로필a(Chl-a)는 66.2% 늘어나 수질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은 지난 1월 박석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가 국제학술지 '환경공학과학'에 게재한 '대규모 하천 복원 프로젝트에 의한 수질 변화의 통계적 및 시각적 비교' 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환경부가 분석한 것이다.
박 교수는 논문에서 금강 전체 지점의 사업 전후 수질지표를 분석해 금강 상류는 수질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지만, 보 건설과 준설 작업을 벌인 하류는 수질이 크게 개선돼 4대강 사업의 효과가 확인됐다는 결과를 내놨다.
4대강 사업은 2009년 말 착공돼 2013년 초 완공됐는데 박 교수는 사업 전후 특정년도(2009년-2013년)를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했고, 연도 선정에 대한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비해 환경부는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여름철 집중강우와 강수량, 고온 패턴 등 계절적 영향이 2006년과 비슷했던 2016년을 사업 후 대표 연도로 정했다.
그 결과 사업 후 녹조가 크게 늘어나는 등 수질이 악화됐다는 결론이 나왔다는 게 의원실의 설명이다.
또 특정년도를 선정해 분석하는 방법은 년도 선정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어 지난해 감사원 감사 결과에서 한 해를 비교하는 게 아니라 여러 해를 놓고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감사원 보고서에 나온 방법대로 사업 전 2005~2008년, 사업 후 2013~2016년으로 4년 치를 분석한 결과 COD 6.5% 증가, 클로로필a 53.7% 증가로 역시 수질이 나빠진 것으로 분석됐다.
신 의원은 "4대강 사업에 대한 입장은 다를 수 있어도 성공, 실패를 판단하는 근거는 객관적인 자료를 사용해야 한다"며 "과학으로 포장된 편향적 조사연구를 멈추고 4대강 재자연화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