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요인 발굴서는 한화 근로자들이 작업하다 문제가 있는 부분이나 개선점이 필요한 부분을 적어 내는 보고서 형태의 문건이다.
앞서 대전CBS는 이 문건을 보도하며 "한화가 사전에 위험성을 알고도 제대로 조치하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화 폭발 사고 유족들은 28일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노동자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135건의 위험요인을 발견해 위험요인 발굴서를 회사에 제출했지만, 어떠한 개선조치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위험요인 발굴서에는 이번에 사고가 난 이형공실(70동)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책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앞서 "3명의 희생자 가운데 위험요인 발굴서를 작성한 직원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 유족은 "작성한 것으로 안다"며 "희생된 김모 씨 아버지와 어머니가 그런 얘기를 들었고 기록한 노트를 경찰에 제출한 것으로 안다"고 말하기도 했다.
특히 방위사업청이 지난해 한화 대전공장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을 했을 당시 지적한 문제와 근로자들이 작성한 위험요인 발굴서 내용이 일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문제를 키우기도 했다.
유족들과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사회단체는 관계기관들이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해 5명이 숨지는 사고 이후 고용노동부는 특별감독을 통해 486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하고 시정조치 했다고 밝혔지만, 정작 노동자들이 위험성을 느끼고 있던 중대한 문제는 적발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위사업청은 제조 공정에 관한 점검을 고용노동부의 책임으로 미루고 있고 소방시설 점검권이 있는 대전시 또한 방위사업체에 대한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며 "8명의 청년이 목숨을 잃었지만, 책임이 있다는 정부 기관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왜 이 사고가 발생했는지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해달라고 가족을 잃은 유족들이 절절하게 호소하고 있다"며 "사고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엄격하게 처벌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진상규명을 위한 조사와 안전조치 개선에 유가족과 유가족이 추천한 전문가 또는 노동차는 참여를 보장할 것과 한화 김승연 회장의 사과 등을 함께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