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교육현장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대입전형은 고등학교 3학년 교육과정이 모두 끝난 후에 실시할 것을 강조했다.
대입제도개선연구단은 이원화된 수시·정시 전형을 통합 전형으로 운영하는 방안, 수능 체제 변경 방안, 학생부종합전형의 안정적 운영 방안, 대학별고사에 대한 개선 방안 등 4개 연구 분야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입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수능 강화 정책은 교육과정 정상화에 도움이 되지 않음을 강조하면서, 수능이 선발의 변별 도구가 아닌 학업 역량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할 것을 요구하였다. 대안으로 전과목 절대평가, 수능자격고사화를 제안하며, 나아가 논·서술식 수능, 수능Ⅰ·Ⅱ 등 다양한 유형도 제안했다.
특히 교육부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을 수능위주전형 30%와 연계하는 것에 대해 재고할 것을 요청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공정성 제고를 위해 기록 방식 개선을 요구했다. 기계적 객관성보다 평가의 정당성을 갖추는 방안과 입학사정관에 대한 신분 안정화, 선발 결과에 대한 자료 공개를 강조한 것이 눈길을 끌었다.
대학별고사의 경우 고등학교 교육과정 범위에서 출제함으로써, 사교육의 영향력을 최소화할 것을 제안했다.
연구단은 초·중등 교육정상화를 위해 대학이 함께할 것을 제안했다.
입시제도가 고등학교 교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주목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패러다임 변화를 위해 대학의 판단과 참여를 주문했다.
연구단은 1차 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중장기 대입제도 개선안을 마련하는 2차 연구를 이어가 올해 하반기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