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널 : 표준 FM 98.1 (07:00~07:30)
■ 진행 : 임미현 앵커
■ 코너 : 조은정 기자 [조은정의 '뉴라밸']
◆ 조은정 > 2019년 올해는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바쁜 일상속에서 여유가 없어서 잊고 사는 분들도 많을텐데요. 관련 문화 콘텐츠가 풍성합니다. 100년전 그날을 한번쯤 되짚어보자는 취지로 문화 콘텐츠들을 소개를 좀 해볼까합니다. 3·1운동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세요?
◇ 임미현 > 만세운동. 그중에서도 유관순 열사가 가장 먼저 떠오르죠.
고아성씨의 인터뷰를 잠깐 들어보시죠
"처음에는 멀리 있던, 유관순 열사님에게 가까이 접근하는 거였어요. 성스럽고 존경하는 이외의 감정도 느껴보지 않았지만 한 인간으로 표현해야했기 때문에 다가가는 작업이 죄책감도 있었고 재밌기도 했었던 것 같아요. 밖에서 잘 안우는데 이번 영화를 하면서 눈물이 많아진 것 같아요"
◇ 임미현 > 유관순 열사가 주인공이었던 영화는 기억이 없었던 것 같은데 챙겨보고 싶네요.
◆ 조은정 > 그런데 저는 주목하고 싶은 것이 그 방에 수감됐던 다른 여성들입니다. 우리가 3·1운동 하면 유관순 열사와 몇몇 독립운동가들만 떠올리고 추상적인 이미지만 각인이 돼 있는데, 당시를 살았던 보통사람들의 삶은 어땠을까? 그 사람들은 어떻게 삶을 살았는가 궁금해집니다. 애국심을 고취하고 역사의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당시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삶도 궁금해지는 건데요. 이런 미시적인 관점에서 쓴 책들도 출간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 임미현 > 맞아요.3·1운동은 정말 평범한 사람들이 들고 일어난 비폭력 운동인거잖아요. 사실 역사의 주인공은 바로 당시 평범한 시민들이었던 거겠죠.
역사학자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가 지은 새 책 <오늘과 마주한 3·1운동>은 100년 전에 일어난 위대한 역사로만 보지 않고 광화문 광장의 촛불 혁명과도 연결지어 해석했습니다. 폭력을 쓰지 않았던 평화시위라는 점에서, 특정 지도자나 단체가 부각되지 않고 오로지 자발적인 연대로 힘을 발휘했다는 공통점을 찾고 있습니다.
김정인 교수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3·1운동을 민주적인 시각에서 쓰고 싶었어요.3·1운동의 주인공도 거리에 나와서 만세운동을 외쳤던 모든 당시의 우리 사람들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촛불 시민혁명때도 거리에 시민들이 주인공이었잖아요. 특정한 영웅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근현대사의 주인공이라는 생각으로 그 책을 쓰게 된 겁니다"
◇ 임미현 > 그냥 역사로만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의 상황과 연결짓는 거네요.
◆ 조은정 > 그렇죠. 최근에는 이렇게 100년 전 보통사람들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일제 감시 대상 인물카드'로 등재된 4858명 가운데 3·1운동 가잠 혐의자 1014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이 중에 독립유공자를 인정받지 못한 사람이 342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30%를 넘는건데요. 정부가 제대로 확인을 못하고 놓쳤던 부분이 많은 겁니다. 또 직업을 분류해보니 인쇄소 직원, 고물상, 잡화상, 마차꾼 같은 다양한 계급이 초월했고, 20대 뿐 아니라 전 연령층에서 고루 참여했다는 점도 새롭게 밝혀졌습니다.
같은 시각에서 조한성 민족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쓴 책 <만세열전>도 31운동의 숨은 주역들을 조망하고 있구요, 곧 출간하는 손석춘 작가의 소설책 <100년 촛불>도 위인이 아니라 위인의 수행비서의 시각에서 쓴 책입니다.
◇ 임미현 > 평범한 사람들에 초점을 맞춘다니 더 관심이 가네요. 다른 콘텐츠들도 있을까요?
◆ 조은정 > 네 공연계도 우리의 마음을 뜨겁게 할 작품들이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안중근의 일대기를 그린 창작 뮤지컬 <영웅>이 다음달부터 공연을 올리구요, 시인 윤동주의 삶을 담아낸 <윤동주, 달을 쏘다>라는 뮤지컬도 다음달 초에 선보입니다.
◇ 임미현 > 예전에 취재차 가본적이 있는데 저도 못간지 꽤 됐네요. 일반인들에게 공개가 되고 있는거죠.
영화 뿐만 아니라 많은 전시와 공연들이 준비돼 있으니까 한번쯤은 이런 콘텐츠들을 접하시면서 100년 전 보통 사람들이 바꿔놓은 그날을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임미현 > 네 잘 들었습니다. 문화부 조은정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