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에 합의했지만 무산됐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말 문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를 통해 답방 무산에 대한 아쉬움을 전하며 서울 방문 의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신년 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해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연동된다"며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지고 나면 그 이후 김 위원장 답방은 더 순조롭게 추진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선(先)북미, 후(後)남북'으로 정상회담 순서를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북미정상회담에서 양측이 얼마나 진전된 결과를 도출하느냐에 달렸다는 분석이다.
구체적인 비핵화 방법은 물론, 상응조치의 하나로 논의될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제재 예외 인정 등에 어느 수준까지 합의하느냐에 따라 북미정상회담 합의로 부는 훈풍이 김 위원장 답방까지 이어질지 여부가 결정된다.
특히 김 위원장이 지난 1월 신년사를 통해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의지를 강하게 피력했고, 문 대통령도 이를 언급하며 국제 제재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이번 북미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논의 테이블 위에 올라 북미가 모두 만족하는 방향으로 정리된다면 자연스럽게 김 위원장의 답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원하는 개성공단 재개 등 문제가 해결되면 추가 논의를 위해서라도 김 위원장이 답방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외교가에서는 북미정상회담이 끝난 뒤 3월 말쯤 답방이 이뤄질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북미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북미가 각자 입장을 정리하고 한미 간 협의도 거쳐야 하는데다, 답방을 위한 실무적인 준비도 하려면 빨라야 3월 말이란 것이다.
4월에는 김일성 주석 생일인 태양절 등 북한 내 정치 일정이 많아 김 위원장이 자리를 비우기 쉽지 않다. 따라서 3월 말이 적기라는 분석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북미정상회담에서 일부라도 제재 면제 등이 진행이 되면, 김정은 위원장이 답방해 북한의 성과사업을 추진하는 식으로 진행하려 할 것"이라면서 "현실적으로 3월 혹은 4월 초, 혹은 판문점 정상회담 기념일 전후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북미정상회담 결과가 좋지 않으면 (답방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이 비핵화 의제에 있어 후퇴한다면 국내 여론도 차가워질 것이고 답방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