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융노조와 산하 국민은행 노조는 국민은행과 허인 행장을 3일전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에 고소했다. 임금 2.6% 인상 등 산별 교섭 결과에 미달하는 조건으로 세부 임단협에 나서 산별 협약을 위반하는 부당노동행위를 저질렀다는 주장이다.
은행 노조가 임단협 과정에서 사측을 고소하는 일은 흔하다. 다만 이번 사례는 노사갈등의 골이 깊어져 있는 탓에 이전처럼 임단협 타결 뒤 소취하 등의 자연스러운 봉합을 장담하기는 쉽지 않다.
지난 8일 경고성 파업을 벌인 국민은행 노조는 이달말 2차 파업 등 추가 쟁의행위를 예고한 상태다. 노사의 임단협은 아직까지 절충안 도출 성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가 극한 대립을 이어가는 경우 허인 행장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신한은행에는 최근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가 2008년의 남산 3억원 사건에 대한 엄정 재수사를 검찰에 권고하면서 '과거사'의 그늘이 드리워졌다. 신한은행이 2008년 남산에서 이명박정권 핵심 인사에게 3억원을 건넸다는 게 남산 3억원 사건이다.
위 행장 임기가 올해 2월로 끝나는 만큼, 신한은행으로서는 '현직 은행장'이 수사받는 사태를 피할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의혹의 본질이 전정권 유착에 해당하는 만큼, 대외 이미지에는 타격이 예상된다.
이 와중에 조용병 현 신한지주 회장이 '채용비리' 사건 피고인으로 재판을 받고 있어 그룹 전체로 CEO리스크가 확대될 수도 있다. 조 회장은 신한은행장 재직 중이던 2015~2016년 지원자 30명의 점수를 조작해 채용 특혜를 제공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채용비리 재판은 하나은행에도 부담 요인이다. 함영주 하나은행장이 2015~2016년 지원자 9명을 부당 채용한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광구 전 우리은행장이 2015~2017년 지원자 37명을 부당 채용한 혐의로 지난 10일 징역 1년6개월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사실은 신한·우리은행을 긴장시켰다. 퇴직한 이 전 행장과 달리, 현직인 조 회장이나 현직은 물론 연임 가능성이 높은 함 행장의 신병은 각사 경영에 직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채용비리 사건이 성격은 같아도 각 은행 CEO들의 개입 양상은 일치한다고 할 수 없다. 수사나 재판 결과를 예단하는 것은 무리"라면서도 "어찌됐든 형사 사건이 거듭 불거지는 상황이 반갑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