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 공시가 오른다는데…정말 '세금폭탄'일까

이달말 22만호 표준단독주택가 공시…그간 시세 30%만 반영돼 세금혜택 누려와

시세에 비해 턱없이 낮은 부동산 공시가를 일부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이른바 '세금폭탄' 논란이 또다시 고개를 쳐들고 있다.

하지만 고가 주택의 시세 반영률이 최저 25%에 불과했던 걸 감안하면, 조세 형평성 차원에서 갈 길이 여전히 멀다는 분석이다.

한국감정원은 이달말 공개할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을 잠정 결정하고 당사자 의견 청취 절차를 한창 진행중이다.

국토교통부와 감정원은 매년 1월말 표준단독주택 22만호의 공시가를, 또 4월말엔 각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기준으로 418만호 전체의 개별단독주택과 공동주택 공시가를 발표한다.

당국이 표준단독주택 소유자들에게 통보한 올해 공시가는 지난해보다 50~70%가량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고가주택이 밀집한 서울 한남동 표준주택 112가구 가운데 공시가 상승률이 50%를 넘는 주택은 34.8%인 39가구에 달했다.

가령 표준단독주택 가운데 항상 최고가였던 이명희 신세계 회장의 한남동 주택은 지난해 169억원에서 올해는 270억원으로 공시가격이 59.7%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다보니 일각에선 이번 공시가 현실화 작업을 두고 '세금폭탄'이라며 맹공을 펴고 있다. 그동안 잠잠했던 공시가격이 한꺼번에 오를 경우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등 보유세를 비롯해 상속·증여세도 급증할 거란 우려에서다.


특히 보유세 논쟁이 불거질 때마자 등장해온 "이미 은퇴해 집 한 채뿐인 노인 가구는 어쩌란 말이냐" 식의 논리도 부쩍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같은 논리는 사실상 '궤변'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공시가를 현실화해도 수십억 고가 주택 보유자들의 일부 세 부담이 늘 뿐, 대다수 주택 보유자들에겐 큰 영향이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파트에 비해 거래가 적은 단독주택의 공시가는 그동안 고가일수록 시세 반영률이 낮았다. 2017년 64억 5천만원에 거래된 강남구 역삼동 단독주택의 경우 공시가격은 25%인 16억원에 불과했다.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 4구'에서 같은 시기 거래된 50억원 이상 단독주택 11곳의 시세반영률도 평균 38%에 그쳤다.

반면 같은시기 거래된 강북구 미아동 한 단독주택의 실거래가는 1억 1천만원, 공시가는 95% 수준인 1억 400만원이었다. 즉 서민들이 사는 단독주택은 공시가를 높인다 해도 인상 폭이 크지 않다는 얘기다.

상대적으로 서민들이 많은 동대문구 제기동의 표준단독주택 124채에 통보된 평균 공시가격은 올해 2억 3593만 원에서 내년엔 2억6590만원으로 12.7%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최승섭 부동산감시팀 부장은 "이번에 공시가를 다소 올린다 해도 일반적인 서민 아파트 평균인 70%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 될 수밖에 없다"며 "상승 폭이 큰 건 대부분 수십억, 수백억대 자산가들의 고가 주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시가가 더 많이 오른다는 건 그동안 그만큼 혜택을 받아왔다는 반증"이라며 "2005년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도입된 이후 10년 넘게 세금 특혜를 받아온 건데, 조금 더 내게 됐다고 세금 폭탄이라 하는 건 과장"이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아파트의 시세반영률은 평균 70% 수준이지만, 단독주택 공시가격의 시세 반영률 평균은 2017년 기준 51.9%에 불과했다.

이명희 회장의 한남동 주택 경우 지난해 이미 추정 시세가 324억원이 넘었던 걸 감안하면, 270억원으로 공시가가 오른다 해도 시세 반영률은 83%로 여전히 실제 가격과는 큰 거리가 있다.

특히 공시가격이 크게 오른다 해도 보유세 부담 상한이 전년대비 150%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1주택자가 추가로 부담하게 될 재산세와 종부세가 정비례하지도 않는다. 가령 이 회장의 경우 지난해까지 재산세와 종부세로 1억 1567만원을 냈다면, 내년엔 1억 7350만원선이 되는 셈이다.

당국은 오는 7일까지 의견 청취 절차를 진행한 뒤, 이를 바탕으로 이달 25일쯤 표준단독주택 가격을 공시할 에정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