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31일 공개된 신년사에서 "통화정책은 안정적인 성장세가 유지되고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목표에 수렴할 수 있도록 운용해 나가야 한다"며 "올해도 우리 경제가 2%대 중후반의 성장세를 보이고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완화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경기와 물가 흐름 등 거시경제 상황과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한 경기분석 능력 제고를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그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금융·경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경기판단지표를 확충하고 예측모형을 개선해 전망의 정도(精度)를 높이는 한편, 금융시스템 리스크 평가기법을 고도화해 금융안정 상황에 대한 분석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의 정책금리 역전폭 확대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지속 등으로 글로벌 위험회피성향이 증대될 경우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대외 리스크 변화가 금융시장 가격변수와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중립금리 수준이 낮아졌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할 경우 통화정책의 대응여력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면서 "적합한 정책운영 체계 및 수단에 대해 깊이 고민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이 핀테크 확산 등 금융환경 변화에 부응해야 한다는 당부도 내놨다. 이 총재는 "금융소비자 편익 제고, 결제비용 절감 등을 위해 다양한 지급서비스의 활성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겠다"며 "내년 중 가동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한은금융망 구축사업은 차질없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한편 "빠르게 변하고 있는 환경에서 우리의 책무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경직된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노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