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의 답방 발표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연내 답방'이라는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의 합의가 이행에 옮겨질지는 전적으로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와대는 답방 시기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연내 답방 가능성을 열어놓고 만전을 기하는 모습이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8일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지금까지 북측으로부터 어떠한 통보를 받은 바 없다"면서도 "우리는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북측이 입장을 전달해 왔을 때를 대비한 물밑 준비라고 할 수 있다.
청와대와 정부는 김 위원장 답방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이미 그 가능성을 거론한 한라산 방문 외에도 국회 연설 추진 가능성 등을 상정, 사전 검토에 이미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내 답방 성사 시 정상회담 의제 설정 등을 위한 고위급회담, 경호·보도·의전 등을 논의하는 실무회담, 사전 답사 등을 서둘러야 하는 만큼 마냥 손을 놓고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다.
청와대의 의지와 관계없이 정부가 연내 개최를 목표로 준비 중인 남북철도·도로 착공식 참석, 서울타워 방문, 삼성전자 공장 견학 등 다양한 답방 관련 시나리오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8일 오전 현재까지 북측의 확답이 없는 만큼 청와대의 심적 부담도 조금씩 커질 것으로 보인다.
임종석 대표 비서실장이 전날 취재진을 만나 "북쪽과 전화가 되면 이렇게 답답하지는 않을 텐데요"라고 말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여기에 김 위원장의 구체적인 답방 시기 등과 관련해 온갖 설이 계속 흘러나오는 것도 청와대로서는 부담일 수 있다.
이번 주말께 김 위원장의 답방 그림이 어느 정도 그려질 것이라는 관측이 있는가 하면, 이제는 18일부터 2박 3일가량 방문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데 무게를 싣는 여론도 있다.
18∼20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인 17일을 넘긴 직후라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유력 답방 날짜로 꾸준하게 거론됐다.
또한 이날 한 언론은 '김 위원장의 답방이 13일로 가닥이 잡혔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즉각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