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통신은 얼마 남지 않은 종군위안부 중 한 명인 이용수 할머니의 참혹한 삶을 조명하며 일본군 강제 성노예였던 한국의 위안부 문제를 다루어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통신은 22일 "South Korea's surviving 'comfort women' spend final years seeking atonement from Japan(일본의 속죄를 요구하며 말년을 보내는 한국의 생존 '위안부'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제 일본 전시위안소에서 살아남은 한국의 희생자는 채 30명이 되지 않는다며 그 중 한 명인 이용수 할머니를 대구에서 인터뷰했다.
로이터통신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점령 기간 동안 3만 명에서 20만 명의 한국 여성들이 성노예로 강제 동원됐다는 역사학자들의 의견을 소개하며, 이제 그들 중 겨우 27명의 등록된 한국의 희생자들이 살아있고 이들이 아직 증언할 수 있는 동안 일본으로부터 공식적인 사과뿐만 아니라 법적인 배상을 받아내려는 이들의 노력에 절박감이 느껴진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가장 활발한 활동가인 김복동 할머니가 암으로 이제 몇 개월밖에 살 수 없는 상태여서 인터뷰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며칠 전에도 한 희생자가 사망했으며 올 들어 6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1965년 한일협정에서의 배상문제가 해결됐다는 일본의 주장, 또 2015년 박근혜 정부 당시 이뤄졌던 합의 등이 '위안부' 여성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한국 조사단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가 일본이 양국관계를 위협한다는 항의에도 불구하고 2015년 협상 하에 조성된 기금을 폐기하고 보다 '희생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추구할 것이라고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1992년부터 나는 일본에 진실한 사과를 요청해왔으며, 그것이 바로 내가 원하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 27년 동안 해왔으며, 눈이 오든지 비가 오든지, 혹은 날씨가 춥든지 덥든지 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는 이용수 할머니의 피맺힌 호소를 전하며 진정성이 결여된 일본의 지원을 받은 재단을 문재인 정부가 해산했다고 전했다.
"아프다고 진실을 외면할 수 없다. 지속가능하고 견고한 한일관계를 위해서라도 우리는 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결연한 발언을 소개하기도 한 로이터통신은, 일본 당국자들은 한국 정부가 입장을 바꿨다고 여기며, 이미 합의된 바를 재검토하려는 한국 정부의 시도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일본인들이 저지른 잔혹한 범죄의 생존자들은 매일매일 세상을 떠나고 있고, 아베는 아마 기뻐서 춤을 추고 있을 것이다. 그들은 사과하고, 진실을 말하고, 법적 배상을 해야 한다"는 이용수 할머니의 한 맺힌 발언으로 기사를 마무리했다.
※본 기사는 뉴스프로에서 제공하였습니다. [로이터통신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