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을 보면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74만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 대비 4.6% 증가했다.
이는 분기별로 볼 때 2014년 1분기(5.0%) 이후 18분기 만의 최대 증가폭이다. 실질소득 역시 3.0% 증가해 4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경상소득 구성항목별로 보면 근로소득 증가율이 4.5% 증가했다. 고용노동부가 조사한 사업체 임금총액 상승률도 7월과 8월 각각 5.8%, 4.9%씩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직장을 가진 노동자들의 임금은 크게 오른 셈이다.
반면 사업소득 증가율은 1.1%로 다소 부진했다. 통계청 박상영 복지통계과장은 "숙박·음식점업이 지난해에 이어 감소세가 지속됐다"며 "지난해 추석 명절이 10월에 있었던 반면 올해는 9월로 돌아와 도소매업의 역기저 효과가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소득 5분위별 상황을 보면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1만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 대비 7.0%, 2분위 가구 소득은 284만 3천원으로 0.5%씩 각각 감소했다.
특히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이 각각 22.6%, 13.4%씩 급감하면서 경상소득은 5.1% 줄어들었다.
올해 들어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분기 -8.0%, 2분기 -7.6%로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올해 내내 소득분배지표가 악화된 원인은 우선 가계동향조사의 표본 자체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은 올해부터 표본을 기존 5500가구에서 8000가구로 대폭 확대했는데, 이 과정에서 비교적 소득이 낮은 1인 가구와 고령층 가구 비중이 증가했다.
구체적으로는 1인 가구의 유지표본이 33.9%, 신규포본이 66.1%를, 2인 가구의 경우에는 각각 34.3%와 65.7%를 차지했고, 2인 이상 가구의 경우 가구주 연령은 60세 이상인 가구의 비중이 29.7%로 전년동기대비 2.6% 늘었다.
이런 가운데 고용시장이 위축되면서 1분위에서는 가구주와 기타 가구원을 중심으로 취업인원 수가 지난해 동분기 0.83명에서 올해 0.69명으로 16.8% 줄어들면서 근로소득 감소의 원인이 됐다.
반면 소득 5분위는 973만 6천원으로 8.8%, 4분위는 569만 1천원으로 5.8% 각각 증가해 소득 격차가 심화됐다.
특히 근로소득은 11.3%나 증가했는데, 이에 대해 박 과장은 "5분위 취업인원이 지난해 3분기 2.0명에서 올해는 2.07명으로 3.4%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5분위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모두 증가하면서 전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은 241만 2천원으로 4.9% 증가했다.
하지만 1분위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만 전년동분기대비 1.1% 감소한 83만 3천원에 그쳤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13.9%, 7.0%씩 감소한 타격이 컸기 때문이다.
반면 4분위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87만 6천원으로 7.8% 증가했고, 5분위 역시 459만 7천원으로 5.3% 증가했다.
이 경우에도 근로소득이 4분위는 8.6%, 5분위는 10.3% 증가해 이들 분위의 처분가능소득 증가세를 주도했다.
상위 20%의 처분가능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배율은 5.52를 기록했다.
지난 1분기 5.95보다는 개선됐지만, 지난해 3분기 5.18보다는 악화된 결과다.
한편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전년동분기대비 23.3% 증가한 106만 5천원으로 2003년 통계작성 이래 처음으로 100만원을 넘어섰다.
이에 대해 박 과장은 "경상조세 및 연금, 사회보험 등 공적 비소비지출을 비롯해 추석 명절에 따른 가구 간 이전과 금리인상 등에 따라 이자비용 등 사적 비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