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평균 근속연수 채 3년도 안돼

자료사진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신입사원들의 근속연수가 평균 3년이 채 안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은 기업 355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평균 근속연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2.8년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실제로 통계청의 청년층 부가 조사 결과도, 2018년 5월 기준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 5.9개월로 상당히 짧은 편이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이 2.1년으로 가장 짧았다. 다음으로 '기계·철강'(2.2년), '전기·전자'(2.4년), '정보통신·IT'(2.5년) 등의 순이었다.

근속연수가 높은 업종은 '자동차·운수'(4.5년)였으며, 이어 '석유·화학'(4.2년), '제조'(3년), '유통·무역'(2.9년) 등이 있었다.

응답기업들은 신입사원의 근속연수가 '짧다'(48.5%)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 '연봉이 낮아서'(39%,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아서'(36.6%), '입사지원 시 생각했던 업무와 실제 업무가 달라서'(25.6%), '강도 높은 업무, 야근 등 근무환경이 좋지 않아서'(21.5%), '회사에 비전이 없다고 생각해서'(20.9%), '복리후생이 좋지 않아서'(18.6%), '묻지마 지원자가 많아서'(14%) 등을 원인으로 생각했다.

기업들은 신입사원의 짧은 근속연수로 인해 '계획된 인력 충원 부족으로 인한 업무 차질'(69.8%, 복수응답), '반복되는 인력 채용으로 인한 비용 발생'(54.1%), '남은 직원의 업무 부담 가중'(44.2%), '직장 내 사기 저하'(34.9%), '기업 이미지 실추'(11%) 등의 피해를 입는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근속연수를 높이기 위해 '근무환경 개선'(53.3%, 복수응답)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이어 '복지 혜택 강화'(37.8%), '장기근속자 포상 제도 확대'(34.8%),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34.1%), '체계적인 신입사원 교육제도 확립'(25.9%), '멘토링 실시'(21.5%)도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