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국민권인위원회는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들의 '깜깜이 공고' 관행을 바꾸기 위해 고용노동부에 내년 6월까지 '채용공고 임금조건 공개 의무화' 방안 마련과 제도 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실제 기업에서는 채용공고에 임금조건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어떤 입장일까?
18일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458명을 대상으로 '채용공고에 임금조건 공개'에 대해 조사한 결과, 68.1%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이 86.2%로 임금공개에 가장 긍정적이었고, △석유화학(75%) △기계/철강(71.4%) △제조(68.2%) 순이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로는 '입사 후 임금 불만족에 따른 퇴사자가 감소할 수 있어서'(57.1%,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합격자와의 임금 협상이 수월해져서'(48.4%), '투명한 채용정보 공개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 가능해서'(34.3%), '묻지마 지원자가 감소할 수 있어서'(32.4%) 등도 있었다.
임금 표기에 부정적이라고 답한 기업(146개사)은 △높은 임금을 주는 곳에만 지원자가 몰릴 것 같아서(54.8%,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임금은 기업 내부 정보라서(50%) △합격자에게만 임금 공개를 하면 된다고 생각해서(27.4%) △성과연봉제라 임금 공개 시 직원들의 불만, 반발이 증대해서(26.7%) 등의 이유를 들었다.
그렇다면, 실제 기업들은 채용공고에 임금 조건을 얼마나 공개하고 있을까?
기업 중 58.5%가 채용공고에 임금조건을 공개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65.7%는 신입, 경력 모든 채용 공고에 임금을 공개하고 있었고, '신입 채용 공고' 30.2%, '경력 채용 공고' 4.1% 등이었다.
임금을 공개하는 이유로는 '임금이 맞지 않으면 채용이 무산되는 경우가 많아서'(51.5%, 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