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져 가던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불씨를 남북정상회담과 한미정상회담으로 살려놓은 문 대통령의 노력이 결실을 거둘 수 있을지 판가름할 분수령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결과에 따라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사 여부를 비롯해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와 북한이 요구하는 상응조치의 윤곽이 어느 정도 나올 수도 있다.
청와대는 일단 북미 간 대화 진전이라는 기대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특히 폼페이오 장관이 5일(현지시간) 워싱턴DC를 출발해 첫 방문지인 일본으로 향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한 발언이 이를 부추기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일이 잘돼서 우리가 목표에 다다를 때 우리는 정전협정을 끝내는 평화협정에 서명하게 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중국이 그 일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북미 간 비핵화와 상응조치의 '빅딜'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평화협정 체결로도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종전선언을 그 입구로 하고, 평화협정을 거쳐 북미수교, 즉 북미 간 국교 정상화를 종착지로 하는 체제보장 로드맵을 거론한 바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을 놓고 '이번 방북에서 최대한의 성과를 끌어내고자 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데 대해 "(실제 그 정도로) 진도를 낼 수 있다면 청와대에도 아주 좋은 시그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내에서는 문 대통령이 다시금 물꼬를 튼 북미 간 비핵화 대화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계기로 어떤 형태로든 진전을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조심스레 읽힌다.
미국 재무부가 4일(현지시간) 북한과의 무기 및 사치품 불법 거래를 이유로 터키 기업과 북한 외교관 등에 제재를 단행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비핵화 협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청와대는 그 효과를 제한적으로 분석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미국의 제재가) 대세에 지장이 있었다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그대로 진행됐겠는가"라며 비핵화 협상의 큰 흐름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청와대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계기로 한 북미 간 대화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아끼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재개된 북미 대화에 조금이라도 영향을 미치지 않겠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최근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북한의 핵신고를 뒤로 미루고 영변 핵시설 영구폐기의 상응조치로 종전선언을 언급한 것과 관련, 청와대가 거리를 둔 것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강 장관이 말한) 중재안을 우리가 낸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지금은 폼페이오 장관이 청와대에 어떤 이야기를 가져올지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7일 방북 일정을 마친 뒤 곧바로 서울을 찾아 문 대통령을 면담하기로 한 만큼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어떤 수준으로 진전됐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먼저라는 뜻이다.
만약 폼페이오 장관의 이번 방북에서 비핵화와 상응조치의 접점이 찾아지고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가 성사된다면 '연내 종전선언'을 목표로 한 문 대통령의 발걸음은 빨라질 전망이다.
다시 한번 '중재자' 역할을 자임, 지난달 남북정상회담과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북미 대화의 장을 마련한 문 대통령은 현재 북미 대화의 진전 속도에 보폭을 맞추는 모습이다.
실제 청와대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 남북 정상이 합의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의 경우 종전선언 후에 이뤄지는 것이 더 큰 성과를 낼 것이라는 입장이다.
즉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으로 북미 간 큰 틀의 합의가 이뤄질 경우 '김 위원장 서울 답방 전 종전선언'을 끌어내기 위한 문 대통령의 행보에는 더욱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