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체 복원→인간과 공존…반달곰 정책 바뀐다

반달곰 최소 존속개체군 달성…서식지 확대 앞두고 인간과 공존 채비 박차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이 안정권에 들어서면서 정부도 그동안의 '개체 중심 복원' 사업을 '지역사회 공존' 정책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다.

2일 환경부는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의 야생개체 수가 증가해 서식 지역 확대가 예상된다"며 "그간의 개체 중심의 복원사업을 서식지 관리체계로 전환하고, 반달가슴곰과 지역사회의 공존을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환경부는 2004년 처음으로 반달가슴곰을 지리산 야생에 방사하기 시작했고, 올해 초에는 개체 수가 총 56마리로 늘어난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당초 2020년 목표였던 반달가슴곰 50마리 복원 계획을 2년 앞당겨 달성한 쾌거인 동시에, 특정 생물종이 최소 단위로 존속할 수 있는 개체 숫자인 '최소 존속개체군'을 넘어선 결과란 게 당국 설명이다.

현재 56마리인 반달가슴곰의 개체수는 출산·수명(약 20~25년) 등을 고려하면 10년 후인 2027년에는 약 100마리 이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먹이자원과 행동권 및 위협요인 등을 고려해 지리산에서 수용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반달가슴곰 개체수는 78마리로, 이를 초과하면 일부 개체가 다른 서식지를 찾아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2014년부터 지리산 권역 외 지역인 전남 광양, 곡성, 경북 김천 등으로 반달가슴곰 3마리가 이동한 바 있다.


남한지역 반달가슴곰 확산 예측도
이에 따라 환경부는 반달가슴곰이 1회 이상 활동했던 지역 또는 활동 예상지역인 전남, 경남 등 5개 도와 17개 시·군, 시민단체 및 전문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참여하는 '반달가슴곰 공존협의체'를 구성해 올해부터 공존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반달가슴곰을 포함한 멸종위기종의 복원정책 평가와 공존정책 수립을 위해 전문가, 시민사회 등이 참여할 별도 논의기구를 구성하기로 했다.

또 반달가슴곰의 활동·분산을 지원할 수 있는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 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이에 따라 지리산, 덕유산, 속리산 등 중남부권역으로 이어지는 국가 생태축의 훼손 및 단절지역을 조사하고 2022년까지 훼손지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서식환경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협력해 고속도로 폐도 복원, 생태통로 조성 등 생태계 연결사업도 병행한다.

비단 서식지 반경을 넓힐 뿐 아니라 서식환경도 개선하기 위해 주요 서식가능지 환경을 조사하고, 덫‧올무 등을 제거하거나 밀렵 예방 및 단속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반달가슴곰의 출산 및 이동시기인 봄철 등 특정시기에는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관계기관과 협업해 탐방로를 일시통제하거나 예약탐방제를 시행하는 등 집중관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처럼 반달가슴곰 서식지가 확대되면서 자칫 시민들에게 벌어질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 활동도 강화한다.

반달가슴곰은 특성상 스스로 사람을 피하는 성향이 있지만, 먹이에 대한 집착이 강하기 때문에 채소, 과일 열매, 꿀 등을 놓고 사람과 충돌할 수 있다.

특히 성격이 예민해지는 출산시기나 활동반경이 넓어지는 이동시기에는 관련 탐방로 등에 반달가슴곰 서식지 안내 현수막과 진입금지 안내방송시스템을 확대 설치하고, 대피소와 탐방로마다 곰 활동지역과 대처요령 등을 적극 안내하기로 했다.

반달가슴곰 서식지 근처로 자주 출입할 수밖에 없는 지역주민들은 곰 퇴치 스프레이 등을 갖추도록 행정적인 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

양봉, 농작물 등에 대한 피해예방을 위해서도 전기울타리 등 방지시설 설치, 안전 안내서(매뉴얼) 제작·보급하고, 실제로 피해가 발생할 경우 책임보험을 통해 적극 배상하도록 조치하기로 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