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예보가 시민들의 체감과 달랐던 이유 중 하나는 대기측정소의 측정구가 지나치게 높아 실제 호흡하는 곳의 농도와 다르다는 분석이다.
대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대전에는 도시대기측정소 8지점, 도로변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로변대기측정소 2지점 등이 있다.
각 도시대기측정소의 높이는 읍내동 10.5m, 문평동 10.5m, 성남동 11m, 문창동 13m, 둔산동 12.5m, 정림동 13m, 노은동 15.5m, 구성동 15.5 등이다. 평균 높이는 약 12.7m.
현행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운영 지침에 따르면, 일반 대기측정소의 측정구는
1.5∼10m 높이에 설치하도록 돼 있다.
불가피한 경우 외부조건에 최대한 영향이 적은 곳을 택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그렇더라도 20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또 10m를 초과하는 높이에 시료채취구 구축은 예외적으로 설치를 허용하는 사례로 국한하고 있다.
하지만 대전에는 10m 아래의 도시대기측정소가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사람이 호흡하는 높이보다 다소 높은 곳의 대기를 측정하는 것은 시민들의 체감 오염도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의 예보 모델링의 해상도가 낮고 대기질 측정구 위치가 규정보다 높아 국민의 체감오염도를 반영하지 못했다”며 “초고해상도 상세모델로 개선하고 측정소를 체감오염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이관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 높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차이 있을까
그 결과, PM10(지름 10㎛ 이하의 미세먼지)의 경우 10곳 중 7곳에서 대기측정소보다 지상의 미세먼지 농도가 더 높게 나왔다.
특히 측정구 높이가 24.6m로 가장 높은 서울 서대문구 측정소에서 차이가 가장 컸는데, 측정소에서는 32㎍/㎥지만 지상에서는 41㎍/㎥로 측정돼 28%의 차이를 보였다고 송 의원은 전했다.
송 의원실 측은 측정소의 높이가 10m를 넘어가면 제대로 된 측정이 어려운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라며 "결국 인체 유해성을 집중해서 봐야 하는데 호흡하는 높이 정도를 대표할만한 측정치만이 체감오염도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호흡하는 정도보다 높은 것은 문제가 있고 미세먼지 상태가 좋다고 할 수 있는 녹지나 공원에 측정소가 있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립환경과학원 측은 "사람들이 호흡하는 위치에서 측정하는 게 가장 좋긴 하지만 PM2.5(초미세먼지)는 높이에 따라 농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PM10은 PM2.5보다는 입자가 크기 때문에 PM2.5보다는 높이에 따라 차이가 난다"면서도 "앞으로 측정소 높이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는 국민 주거, 생활 양식에 따라 변할 수 있어 다각도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높이'외 조건도 따져야..측정소 위치 선정 어려워
대전보건환경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측정소 설치는) 높이 기준만 있는 게 아니라 옆 건물에 대한 영향, 각도 등 다양한 조건을 따져야 한다"며 "높이만 낮추면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을 못 정하고 지을 장소를 찾을 수도 없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어 "타 시도는 측정소가 20m를 넘는 곳이 있어서 이전 계획을 세우지만 대전은 그 정도로 높은 곳은 없다"며 "최근에는 15층 이상 아파트 거주를 많이 하는데 밑바닥에 설치하는 것이 맞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대전보건환경연구원은 대전 도안과 가오 지역에 측정소를 신설할 예정이지만, 측정소 위치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