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1970년과 1981년 각각 보물 제525호와 보물 제723호로 지정한 삼국사기 2건을 국보 제322-1호, 제322-2호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삼국사기는 김부식(1075∼1151)을 비롯한 고려시대 문신들이 1145년에 편찬하고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사서이다.
신라·고구려·백제의 흥망과 변천을 상세하게 정리해 역사 연구의 시초가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간 삼국사기는 보물 3건과 시도유형문화재 1건이 있었으나, 국보로 지정된 책은 없었다.
국보 제322-1호가 된 삼국사기는 경주 옥산서원에 있으며 50권 9책을 갖춘 완질본이다. 고려시대에 새긴 목판과 조선 태조, 중종 7년(1512)에 각각 새롭게 만든 목판을 혼합해 선조 6년(1573)에 경주부에서 찍었다.
이와함께 고(故) 파른 손보기(1922∼2010) 박사가 연세대에 기증해 '삼국유사 파른본'으로 알려진 보물 제1866호 '삼국유사 권1∼2'도 국보 제306-3호로 승격됐다.
삼국유사는 승려 일연(1206∼1289)이 전국을 돌며 고조선부터 후삼국시대까지의 역사와 문화, 민속을 정리한 책으로, 파른본은 완질본은 아니지만 간행 시점이 이르고, 빠진 장이 없는 완벽한 인출본이다. 기존에 판독하기 어려웠던 글자를 확인하게 됐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은 사료다.
문화재청은 지난 1월 한꺼번에 지정 예고했던 간송미술문화재단의 그림과 서첩, 인장 6건과 해인사 용탑선원에 있는 '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나전경함'을 모두 보물로 지정했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유물 중에는19세기 미인도 제작의 전형이 된 신윤복의 '미인도'가 유명하다.
김홍도의 회화로는 선비가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보는 모습을 그린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중국 인물들에 얽힌 일화를 소재로 제작한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도교 신선을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한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가 포함됐다.
조선 후기 서예가 원교 이광사가 자신의 서예 이론서인 '서결'(書訣) 앞부분을 1764년 필사한 서첩과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음식을 담당한 관청인 사옹원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도장인 '백자 사옹원인'도 보물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해인사 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집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경전을 모은 서책으로 1370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 제1975호로 지정된 고려 나전경함은 불교 경전 보관 상자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고려시대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