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GB에 1만7천원…스마트폰 데이터 요금, 한국이 제일 비쌌다

핀란드 380원으로 가장 싸…100GB 이상 무제한 프랑스·영국 등 15개국 달해

우리나라 스마트폰 데이터 요금이 세계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핀란드의 국제 경영컨설팅 업체 리휠(rewheel)은 1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유럽연합(EU)에 속한 41개국 187개 이동통신 업체(재판매업체 58곳 포함)의 데이터 요금 1628개를 비교 분석한 '디지털 퓨얼 모니터'(DFM) 보고서에서 이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리휠의 보고서는 국가·업체별 데이터 요금을 비롯해 이동통신 분야 가격정책 동향 등 방대한 데이터를 비교해 통신요금의 흐름을 분석한다.


◇ 한국 스마트폰 요금제 1GB 당 1만7천원 OECD·EU 중 '가장 비싸'


리휠이 11월 기준 최소 월 국내 전화 무료통화 1천분 이상 제공되는 스마트폰 통신 요금제(SP)와 순 데이터만 이용하는 전용 요금제(모바일 브로드밴드)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데이터 요금을 환산한 결과 SP 요금제의 경우 1기가바이트(GB) 당 가격은 한국이 13.4유로(약 1만7천원)로 42개국 가운데 가장 비쌌다.

뒤이어 캐나다 12.1유로(2위), 미국 9.6유로(6위), 일본 5.7유로(10위), 독일 5유로(13위) 등이었다. 반면 가장 싼 핀란드는 0.3유로(약 380원)로 한국보다 45배 더 저렴했다. EU 평균은 2.4유로, OECD 평균은 3.3유로였다.

30유로(약 3만8천700원) 기준 사용할 수 있는 4G LTE 데이터의 양이 한국은 0.3GB에 불과해 가장 비쌌다. 순위는 밑바닥인 38위로 몰타·헝가리·그리스가 뒤를 이었다.

프랑스와 덴마크 등 무제한 국가는 11개국이나 됐다. 영국 등 4개국도 100GB 이상이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27개국이 30유로에 10GB 이상 제공했다.



◇ 한국 데이터 전용 상품도 41개국 중 33위 '바닥권'

무료통화 등이 없는 데이터 전용(MB: 모바일 브로드밴드)일 경우에도 30유로 기준 4G 데이터의 양은 한국이 22GB로 41개국 중 바닥권인 33위였다. 캐나다는 2.3GB로 가장 적었다. 반면 무제한 허용은 폴란드, 스위스, 핀란드 등 11개국에 달했다.

MB 요금제에서 이용할 수 있는 4G 데이터 1GB당 가격은 캐나다가 9.7유로(1위)로 가장 비쌌고, 핀란드는 0.08유로(41위)로 가장 쌌다. 미국은 6.8유로(3위), 독일은 3.8유로(7위), 일본 3.3유로(8위)였다. OECD평균은 1.2유로, EU 평균은 1유로였다.

전체 이동통신업체 가운데 무료통화 제공 요금제에서 데이터 1GB 가격이 가장 비싼 업체 상위 10개 중에 SKT(5위), LGU+(7위), KT(10위) 등 한국 3대 이통 업체가 모두 포함됐다.

보고서는 데이터 요금이 비싼 것으로 나타난 한국을 비롯해 캐나다, 미국, 일본 등을 지목하면서 "이들 나라 이동통신 업체들은 데이터 가격을 과도하게 비싸게 책정한다"고 지적했다.

리휠은 이전 보고서에서 유럽 등 주요 나라들에서 모바일 데이터 무제한 제공에 따른 한계비용(추가생산에 드는 비용)이 거의 0에 가까워지면서 이동통신업체들의 사업 모델에도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차별 요금제는 더이상 가능하지 않은 상황으로 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하반기 데이터 이용 가격이 상반기에 비해 평균 30% 떨어지는 등 EU와 OECD 국가 업체들을 중심으로 데이터 무제한 제공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라별 연간 1인당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2016년 기준)은 한국이 4.6GB로 7위를 기록한 가운데, 핀란드는 16.1GB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뒤 이어 라트비아(6.4GB), 오스트리아(5.5GB), 덴마크(5.4GB), 스웨덴(5.4GB), 에스토니아(5.1GB), 한국, 일본(3.9GB) 미국(3.6GB), 폴란드(2.9GB) 순이었다.

한국은 가장 비싼 요금에 가장 적은 데이터를 받으면서도 한국인의 데이터 사용량은 상위 10개 국가에 들었다.



◇ 글로벌 시장 흐름에 역행…국내 통신요금 인하 기폭제 될까

리휠의 보고서는 국내 통신요금의 기준이 되는 방송통신위원회와 국내 이동통신업체들이 제시한 자료와는 크게 다른 결과다.

음성통화나 문자메시지, WiFi 및 통신기술의 차이, 국가별 시장 특성에 따른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리휠은 4G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모바일 데이터의 가격만을 놓고 비교한 것이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OECD와 EU에 포함된 41개국의 입수 가능한 187개 이동통신업체의 자료(2017년 11월 기준)를 토대로 데이터를 추출해냈다. 대중화된 4G LTE 데이터 가격을 최소 국내통화 1천분 이상 무료로 제공하는 스마트폰 요금제와 일반적인 전화 기능이 없이 순 데이터만 사용하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요금제 2개 상품군만으로 분류했다.

가격도 국가와 업체별 중간값(median)으로 비교했고, 데이터 1GB 당 가격은 월정요금을 무료 허용된 데이터양으로 나눠 계산했다. HD급 영상을 보기 위해 3Mbps 이상의 속도를 유지하는 상품을 기준으로 일정량 사용 후 속도가 떨어지는 무제한 상품은 제외했다.

국내 통신사들이 제시하는 기준과는 차이가 있지만, 최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WiFi와 데이터를 이용한 통신 방식은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일반적인 추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모바일 데이터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게 책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올해 상반기 통신요금 인하 여론이 불거지자 국내 이동통신업체들이 통신 공급을 위한 한계비용이 0에 가깝다는 주장에 반발하며 추가 기술 및 시설 투자와 유지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이 크다고 강조했지만, OECD와 EU 그룹에 속한 국가들의 통신요금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는 주목할 점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