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자녀수 반토막…4.49명 ->1.91명

여성 경력 단절 여전하지만, 만혼·저출산 기조로 갈수록 완화돼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2000년대 후반 이후 결혼한 이들의 기대자녀수가 1950년대 초반 결혼한 이들에 비해 절반 넘게 줄어들었다.

결혼·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은 여전히 여성에 집중됐지만, 결혼을 늦게 하고 아이를 적게 낳으면서 경력단절 강도는 갈수록 완화되고 있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을 보면 1950년~54년 결혼한 집단과 비교해 2005년~09년 결혼한 이들의 기대자녀수는 4.49명에서 1.91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기대자녀수는 출생아수에 추가계획자녀수를 합한 것으로 향후 계획하고 있는 자녀수까지 포함된 개념이다.

'혼인 코호트'(특정 기간 결혼한 사람들의 집단)별 출생아수를 살펴보면 1950~1954년 혼인코호트의 출생아수는 4.49명, 1960~1964년은 3.68명, 1970~1974년은 2.64명이었지만, 합계출산율이 1.3 이하인 초저출산 사회로 접어든 2000년대 전반 이후 2000~2004년은 1.88명, 2005~2009년은 1.77명으로 감소했다.

혼인코호트별 무자녀 비중 역시 2.6%(‘90~’94년 혼인코호트)에서 5.9%(’00~‘04년 혼인코호트)로 증가 추세를 기록했다.

이처럼 아이를 적게 낳는 이유 중 하나는 여성들의 교육 수준 및 취업 수준이 개선되면서 결혼을 늦게 하고, 결혼한 뒤에도 아이를 늦게 낳기 때문이다.

1950~1954년 혼인코호트의 초혼연령은 19.1세였지만, 2010~2015년은 29.4세로 크게 증가했다.

또 여성이 혼인 후 첫 출산할 때까지 소요된 기간인 '첫 출산간격'도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까지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결혼한 뒤에도 아이를 최대한 늦게 가지려는 세태를 반영했다.

다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결혼 시점이 크게 늦어지면서 첫 출산간격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처럼 결혼 후 첫 출산을 늦추는 경향은 도시인 서울(1.75년), 경기(1.66년), 세종(1.63년) 순으로 강했다.

또 아이도 적게 낳는 세태가 강해지면서 혼인코호트별 출생아수 분포도 1970~1974년 혼인코호트까지 3명 이상의 비중이 높았지만, 1975~1979년 혼인코호트부터 2명만 낳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다가, 1995년 이후 혼인코호트부터는 1명만 낳아 기르는 비중이 20%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첫째 출산에서 막내 출산까지의 소요기간인 출산기간도 1950~1954년 혼인코호트는 11.4년에 달했지만, 2010~2015년 혼인코호트는 2.2년에 그쳤다.

아이를 낳은 뒤 주로 여성이 직장을 그만두고 아이를 키우다 뒤늦게 재취업하기 때문에 아동 연령 별로 아버지 취업자 비중은 95% 내외 수준으로 일정한 반면, 여성 취업자 비중은 아동 연령이 증가할수록 상승했다.

자녀의 연령이 0세인 경우 어머니의 취업률은 27.0%에 불과했지만, 6세인 경우는 44.2%로 크게 상승했다.

실제로 20~24세에서 취업자 비중은 남성은 31.7%, 여성은 43.1%로 여성이 11.4%p 더 높지만, 남성은 나이를 먹을수록 취업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30대 중반에는 90% 수준에 이른다.

반면 여성은 25~29세까지 남성(67.5%)과 유사한 수준(68.6%)을 기록하지만, 30~34세에는 남성 취업자 비중이 급증(87.1%)하는데 반해 여성은 오히려 59.8%로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이러한 여성의 '경력단절'로 인한 취업자 비중의 'M'자 곡선은 과거보다 혼인 및 출산 시기가 늦춰지면서 함몰 시기가 지연되고, 아이를 적게 낳으면서 깊이도 완화됐다.

실제로 2010년에는 30대 전반(56.1%)과 30대 후반(55.2%)의 취업자 비중이 유사했지만, 2015년에는 30대 후반의 취업자 비중(56.5%)이 가장 낮았다.

경력단절 사유로는70년대 생까지는 '결혼'(57.1%)의 비중이 절반을 넘겼지만, 80년생부터는 '임신·출산'이 46.8%로 가장 많았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