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파업은 김재철 사장 퇴진과 '공정방송'을 외치며 170일 동안 벌였던 2012년 이후 5년 만에 일어난 파업이었다. 송출필수인력 등 예외인력까지도 두지 않았던 '고강도 파업'이 시작되고 멈춘 시기를 일지로 정리해 보았다.
5월 29일 : MBC 보도국 기자들, 실명 걸고 김장겸 사장 퇴진 요구 성명 게시 시작
6월 2일 : 김민식 PD, MBC 사옥에서 "김장겸은 물러나라" 페이스북 라이브
6월 29일 : 고용노동부, MBC 특별근로감독 돌입
7월 21일 : MBC 'PD수첩' 제작진, '지속적인 아이템 묵살' 이유로 제작거부 돌입
7월 26일 : MBC, 'PD수첩' 이영백 PD 대기발령 징계
7월 28일 : MBC본부-'PD수첩' PD, 김장겸 사장·김도인 편성제작본부장·조창호 시사제작국장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고소
8월 2일 : MBC 'PD수첩' 작가들, 제작거부 지지 성명
8월 3일 : MBC 시사제작국 기자·PD들 제작거부 시작
8월 4일 : MBC, 시사제작국 소속 기자·PD 5명 대기발령 징계
8월 8일 : MBC본부 '카메라기자 성향분석표'(블랙리스트) 문건 폭로
8월 9일 : MBC 카메라기자들, 제작거부 시작
8월 14일 : 전국MBC기자회, 서울MBC로의 기사 송고 거부
8월 16일 : MBC본부, 고영주 방문진 이사장의 '노조원 노골적 업무배제 지시' 녹취록 공개
8월 17일 : MBC 보도국 밖 기자들, 제작거부 시작
8월 18일 : MBC, 제작거부 움직임 확산되자 경력사원 채용 모두 취소
8월 23일 : MBC본부, 김장겸 사장-고영주 이사장 고소
8월 24일 : MBC본부, '블랙리스트 노조파괴 저지 및 공정방송 단체협약 체결 쟁의행위 확대' 총파업 투표 시작
8월 28일 : MBC "공영방송 MBC 장악 행위 즉각 중단하라" 성명
8월 29일 : MBC본부 총파업 투표 93.2%로 가결
8월 30일 : MBC본부 노조원 32명, 뉴미디어포맷개발센터·경인지사·신사업개발센터 등 '유배지' 폐쇄 선언
8월 31일 : KBS 아나운서들, MBC본부 응원차 방문
9월 4일 : MBC본부 총파업 시작
9월 5일 : 김장겸 사장,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 자진출석
9월 6일 : MBC 수목드라마 '병원선' 방송사고
9월 8일 : 방문진 유의선 이사, 자진사퇴 / 언론노조 KBS-MBC본부 공동 총파업 출정식
9월 11일 : MBC 보도국 편집부 AD·라디오 리포터 등 '파업 지지' / MBC본부, '사내 블랙리스트' 폭로
9월 14일 : 국정원,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문건 공개
9월 21일 : 백종문 부사장 "파업 풀 방법 사실상 없어"
9월 22일 : 방송통신위원회, 방문진 검사·감독 착수
9월 27일 : MBC, '이브닝뉴스' 등 '녹화뉴스' 강행
9월 28일 :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 김장겸 사장 등 MBC 전·현직 경영진 6명 '부당노동행위' 기소 의견으로 검찰 송치
10월 17일 : MBC본부, 고영주 이사장 '김영란법 위반' 폭로
10월 20일 : 방문진 김원배 이사, 자진사퇴
10월 22일 : MBC 드라마 PD들, '드라마 릴레이 결방' 결의
10월 23일 : 언론노조 KBS-MBC본부, 총파업 50일 맞이 연합 집회 개최 / 방문진에 고영주 이사장 불신임안 제출돼
10월 24일 : 언론노조 KBS-MBC본부, 안종필 자유언론상 본상 수상
10월 25일 : MBC본부 파업콘서트 '다시 만나도 좋은 친구' 개최
10월 26일 : 방문진, 보궐이사 2명(김경환·이진순) 새로 선임
10월 31일 : MBC본부, 영상기자들 대상 '보도영상지침' 폭로
11월 2일 : 방문진, 고영주 이사장 불신임 가결
11월 8일 : 김장겸 사장, '해임사유 소명' 위해 방문진 왔다가 돌아감. 불출석 후 서면으로 소명 대체
11월 13일 : 방문진, 김장겸 사장 해임안 가결 / MBC주주총회서도 의결
11월 14일 : MBC본부, 파업 정리 집회 / 백종문 사장 직무대행, 사의표명
11월 15일 : MBC본부, 오전 9시부터 파업 잠정 중단 (단, 대전지부는 총파업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