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IMF 위기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비정규직 문제나 소득 격차를 심화시켜 우리 경제와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KDI(한국개발연구원)이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해 14일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7.4%는 지난 50년간 한국 경제의 가장 어려운 시기로 'IMF외환위기'를 지목했다.
'2010년대 저성장'은 26.6%,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5.2%, '1970년대 석유파동'은 5.1%로 그 뒤를 이었다.
'IMF 외환위기'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일로는 '금모으기 운동'이 42.4%로 1위였다. 이어 '대량실업'이 25.4%, '대기업, 은행 등 기업들의 파산 및 부도'는 17.6%였다.
IMF사태의 원인으로는 36.6%가 "외환보유고 관리, 부실은행 감독 실패 등 당시 정부정책에 있다"고 응답했다. 또 32.8%는 "정경유착의 경제구조, 부정부패 등 시스템이 원인이었다"고 답변했다.
응답자의 24.5%는 IMF 위기가 '구조조정을 통한 기업 건전성 및 경쟁력 제고'를 불러왔다고 본 반면, 31.8%는 '소득격차와 빈부격차 확대 등 양극화 심화'의 원인이 됐다고 봤다.
특히 지금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비정규직 문제'(88.8%), '안정적 직업 선호'(86.0%), '소득격차'(85.6%) 등을 증가시켰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다보니 응답자의 59.7%는 "IMF 외환위기가 내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했다. 당시 자영업자는 67.2%, 당시 대학생은 68.9%가 "삶에 큰 피해를 입었다"고 평가했다.
우리 경제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31.1%가 "일자리 창출 및 고용안정성 강화"를 꼽았다. 사회적 측면에선 32.7%가 "부정부패 척결을 통한 신뢰 구축", 32.5%는 "저출산 및 고령화 대책 마련"이라고 답변했다.
KDI 관계자는 "국민들은 외환위기 극복의 원동력으로 구조조정 등 개혁 노력보다 국민 단합을 더 높게 평가했다"며 "포용적 성장을 통해 사회 응집력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보여준다"고 설명했다.